google-site-verification: google7f94a714bae2f226.html
신숭겸 장군은 고려사 열전에는 광해주(光海州) 즉 춘천 인물로 실렸고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춘천도호부 인물조가 아닌 춘천도호부 우거(寓居)조에 신숭겸이 실렸다. 그런데, 우거조는 글자 그대로 그 지역 출신이 아닌 그 지역에서 머물며 활동하던 인물에 관한 기록이고 역시 같은 책 신증동국여지승람 평산도호부 편에도 신숭겸은 곡성현 출신인데 태조가 평산을 본관으로 내렸다고 하였다. 그리고 신증동국여지승람 사원조에도 신숭겸은 전라도 곡성현 출신으로 기록되었고, 신증동국여지승람 곡성현 인물조에 대해 세간에 전하기를, 신숭겸은 죽어서 현의 성황지신(城隍之神)이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고려에서 성황신은 그 고을 토호의 시조, 조상 중에서 특출한 인물을 성황신으로 모셨으니 신숭겸은 곡성현 출신으로 춘천으로 옮겨와 활동한 인물이다. 궁예 시절에 무장으로 활약하였고 많은 공을 세워 마군장군의 지위에 있었다. 궁예가 미치광이가 되면서 홍유, 배현경, 복지겸 등과 손을 잡고 왕건을 새로운 왕으로 추대하며 고려를 건국한 개국 일등공신이다. 이후 왕건에게서 신(申)씨를 사성받고 숭겸(崇謙)이라는 이름을 받았다.
신숭겸 장군은 검술과 궁술이 뛰어났다. 왕건과 함께 황해도 평산으로 사냥을 나갔는데 왕건이 하늘에 날아가는 기러기 떼를 가리키며 기러기 떼 중 앞에서 세 번째로 가는 기러기를 맞춰 보라고 명하자 화살을 쏴서 실제로 세 번째로 날아가던 기러기를 맞추어 떨어뜨렸다는 일화가 남아 있는데 이 이야기가 평산 신씨의 본관이 평산이 되는 유래라고도 한다. 신숭겸 이전에는 성씨가 없었고 출신은 미천했을 것이란 주장도 있다. 그러나 당시에는 신라 지방 명문가 출신들도 성씨가 없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황해도 지역의 호족 출신인 태조 왕건의 경우도 선대의 성이 왕씨라는에 대한 기록이 확실치 않다. 대부분의 귀족들이 본격적으로 성씨를 사용하기 시작한 건 왕건이 각 지역의 토착 세력인 호족들에게 본관과 성씨를 지정해주는 ‘토성분정’을 실시하면서부터였다. 결국 무술이 뛰어난 심숭겸은 충성심역시 대단하기 때문에 왕건의 측근이 되었을 것이다.
고려 개국에 기여한 무장들 중에서는 일찍 죽음을 맞이한 명장들이 많다. 왕건이 후백제의 견훤으로부터 신라를 구원하기 위해 출전했던 팔공산 전투에서 후백제의 견훤에게 참패하고 죽음의 위기에 처하자 신숭겸은 한고제 유방을 살리기 위해 미끼가 되어 죽은 기신을 본따 자신이 왕건의 투구와 갑옷을 빌려 입고 미끼가 되어 후백제군을 유인했다. 왕건은 일반 군졸의 옷을 입고 탈출하는데 성공하여 신숭겸의 희생 덕분에 왕건은 겨우 도망칠 수 있었다. 후백제군은 신숭겸이 왕건인줄 알고 쫓았고 결국 신숭겸은 전사했으며 함께 유인 작전에 나선 김락, 김철, 전이갑, 전의갑 형제와 그 사촌 동생인 전락, 개국공신 평장사 호원보, 대상 손행을 포함한 8명의 장수가 전사했다. 그리고 김철 장군만이 유일하게 생존해서 후백제 멸망전인 일리천 전투에도 참전하는 등 후삼국 통일 이후에 고려왕시리에서 관직을 차지했다. 이 때 4명을 포함하여 모두 8명의 장수가 전사하였다 하여 원래 공산이라는 산의 이름이 팔공산이 되었다 한다.
대구광역시 동구 파군재에 위치한 신숭겸장군 동상에서 파계사 길로 500m 정도 올라가면 신숭겸 장군 유적지(지묘사절터)가 있다. 신숭겸 장군의 죽음을 애통하게 여긴 왕건은 그의 시신을 거두어 광해주(지금의 춘천)에 묻고, 전사한 자리인 대구에는 지묘사를 창건하여 명복을 빌었다. 지묘사는 고려의 멸망으로 폐사 되었으나 조선 선조 40년(1607)에 경상도관찰사 유영순이 폐사된 지묘사의 자리에 표충사(表忠祠) 표충단(순절단), 충렬비를 건립하여 신숭겸을 모셨다. 고종 8년(1871)에 서원철폐령으로 표충사가 없어자자 후손들이 표충재를 새로 지어 지금까지 이어 내려오고 있다.
후백제군에 의해 훼손되고 참수된 신숭겸의 시신은 왼쪽 발 밑에 북두칠성 모양의 사마귀가 있다는 것을 근거로 겨우 찾았지만 머리는 끝내 찾지 못해서 왕건은 황금으로 머리를 만들고, 미리 정해둔 자신의 신후지지(身後之地)에 매장해주었다. 신숭겸의 무덤은 봉분이 3개인데 머리를 대신한 황금 두상을 지키고자 이렇게 했다고 전한다. 이 묘자리는 풍수지리가들이 명당 중에 명당이라고 극찬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