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 google7f94a714bae2f226.html
역사서에 의하면 부여라는 나라는 서기전 2세기경부터 494년까지 북만주지역에 존속했던 예맥족(濊貊族)의 국가로서 북부여라고도 불린다. 국호인 부여는 평야를 의미하는 벌(伐·弗·火·夫里)에서 연유했다는 설과, 사슴을 뜻하는 만주어의 ‘puhu’라는 말에서 비롯했다는 설이 있다. 부여는 서기전 1세기의 중국측 문헌에 등장하므로 이미 그전부터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졸본부여라는 이 계통의 국가가 별도로 있다.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에 전하는 주몽설화 중에는 주몽이 졸본부여에 이르자 그곳의 왕이 아들이 없어 주몽을 사위로 삼고, 주몽이 그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는 전승이 있다. 또 〈삼국사기〉 백제본기의 비류설화에는 주몽이 졸본에 이르러 졸본사람 연타발의 딸 소서노와 결혼했다는 전승도 있다. 이러한 것으로 미루어볼 때 졸본지역에는 주몽집단이 남하하기 이전에 정착한 부여계 이주민이 소국을 이루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부여국은 서로는 오환(烏桓)·선비(鮮卑)와 접하고, 동으로는 읍루(挹婁)와 잇닿으며, 남으로는 고구려와 이웃하고, 서남으로는 요동의 중국세력과 연결되어 있었다. 3세기 전후 무렵 영역은 사방 2천리에 달하는 광활한 평야지대였다.한편 해부루는 해모수의 아들로 부여의 왕위를 계승한다 그는 재상 아란불(阿蘭弗)이 천제(天帝)의 계시를 받아 도읍을 옮길 것을 청하자, 그에 따라 동쪽 바닷가의 가섭원(迦葉原)이라는 곳으로 나라를 옮겨 이를 동부여라고 하였다
광개토대왕릉비(廣開土大王陵碑)에서 처음 나타나는 부여국은 북부여국(北夫餘國)이다. 즉, 옛적 시조 추모왕(鄒牟王)이 나라를 세웠는데 (왕은) 북부여에서 태어났으며, 천제(天帝)의 아들이었고 어머니는 하백(河伯)의 따님이었다.고 한다. 이곳에서 말하는 북부여가 고구려 수도에서 볼 때 북쪽에 있는 부여를 뜻하므로 북부여와 부여는 같은 나라로 보는 것이 지금까지의 일반적 생각이었다. 그러나, 광개토대왕릉비에는 북부여와 부여를 서로 다른 나라처럼 구별해 사용한 내용이 있다. 이에 따르면 북부여에서 갈라져 나온 한 집단이 강을 건너 세운 나라가 부여로 되어 있다. 따라서, 북부여를 고리국 또는 탁리국으로 볼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며 부여의 기원이라 말 할 수 있다.
동명성왕(東明聖王)BC 58~19. 고구려의 시조인 고주몽의 신화는 〈삼국사기〉․〈삼국유사〉․〈제왕운기〉․〈동국이상국집〉․〈광개토왕릉비문〉 등의 관련기사에 의하면, 천제(天帝)의 아들 해모수(解慕漱)와 정을 통하고 버림받은 하백(河伯)의 딸 유화(柳花)가 태백산(太白山) 우발수(優渤水)에서 북부여(北扶餘)의 왕 금와(金蛙)를 만나 그의 궁중에 유폐되어 있었다. 어느 날 해모수가 햇빛이 되어 나타나 유화에게 잉태시켜 알을 낳게 했는데, 여기서 태어난 것이 주몽이라고 전해진다. 총명하고 활을 잘 쏘아 촉망받던 중 대소(帶素) 등 부여의 금와왕의 7명의 왕자가 그 재주를 시기하여 죽이려 하자 어머니의 권고로 마리(摩離)․오이(烏伊)․협보(陝父) 등과 함께 화를 피해 남쪽으로 도망갔다. 압록강의 지류인 동가강(佳江) 유역의 홀본(忽本)에 이르러 땅이 비옥하고 산천이 험준한 것을 보고 도읍으로 정했다. 나라 이름을 고구려라 하고 성을 고라 하니, 대략 BC 37년에 해당된다. 당시 동가강 유역에는 여러 성읍국가들이 있었는데, 그 가운데 가장 우세한 것이 비류국(沸流國)이었다. 비류국의 지배층도 고구려와 마찬가지로 부여에서 주몽집단보다 먼저 이동해 정착한 집단이었다.
고주몽은 BC 36년 비류국의 왕인 송양(松讓)을 굴복시켜 합병했으며, BC 34년에는 성곽과 궁실을 지었다. 이듬해에는 행인국(荇人國)을 정복하고, 다시 BC 28년에는 북옥저(北沃沮)를 멸망시키는 등 여러 성읍국가들 사이에 연맹국가(聯盟國家)로의 통합운동을 전개, 국가기틀을 마련해갔다. BC 19년 4월 부여로부터 도망쳐온 아들 유리(類利)를 태자로 삼았다. 그해 9월에 죽자 용산(龍山)에서 장사지내고, 시호를 동명성왕이라 했다.
『구삼국사』와 『삼국사기』 그리고 고구려본기 건국신화 조에 의하면, 천제(天帝)의 아들로서 천제의 명령에 따라 서기전 58년 오룡거(五龍車)를 타고 지상으로 내려와 인간세상을 다스렸는데, 세상에서는 그를 천왕랑(天王郎)이라 하였다고 한다. 하루는 웅심산(熊心山) 부근으로 사냥을 나왔다가 하백(河伯)의 맏딸 유화(柳花)를 발견하고 유인하여 관계를 맺었고, 이어 하백을 찾아가 자신이 천제의 아들임을 입증함으로써 정식으로 유화와 혼인하였다. 술법이 더 고수였던 천상신 해모수는 물의 신 하백을 이겼지만 유화를 임신시키고는 어찌된 이유인지 그냥 떠나가버렸다.
일설에 의하면 딸을 버릴까 두려워한 하백의 처사에 분개하여 유화를 버리고 하늘로 올라가버렸다고도 한다. 그 뒤 유화는 고구려의 시조 주몽을 낳았다고 한다. 그는 천제로서 직접 흘승골성(紇升骨城)이라는 곳으로 내려와 북부여를 세웠으며 부루(扶婁)를 낳았다는 전설에 의하면 해모수는 이미 해부루의 모친인 왕비가 있었다는 이야기가 된다. 그렇다면 해모수는 조강지처에게 돌아간 것일까? 하백의 물의신이라는 세력과 부루의 모후인 본왕비 등의 세력에 내쳐졌을 수도 있다. 그래서 유화 역시 버려지고 금와왕에게 기탁하여 주몽을 낳았느지도 모른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해모수의 적통인 고주몽이 부여의 왕자가 되고 고구려를 건국한 것은 정통성을 강조하는 창업신화의 일부가 되었을 것이다.
단군의 승천은 무슨 의미일까? (15) | 2024.02.08 |
---|---|
삼국유사보다 업그레이드된 제왕운기의 단군신화 (13) | 2024.02.07 |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의 이야기 (19) | 2024.02.04 |
아동문학과 단군의 이야기 (16) | 2024.02.02 |
아동문학 작가가 되기 위해 기본서를 읽자. (18) | 2024.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