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 google7f94a714bae2f226.html
구지가에 대해서는 배경의 이야기가 자세하다. 후한(後漢) 세조 광무제 건무 18년 임인(壬寅) 3월 계욕일(禊浴日)m 이말은 액(厄)을 없애기 위해 물가에서 사람들이 자기 몸을 깨끗하게 목욕하며 노는 날을 말한다 그런데 마을 북쪽에 있는 구지봉에서 이상한 소리가 났다. 이에 마을 사람들 수백 명이 그곳에 모이니 사람의 모습은 보이지 않고 하늘에서 이상한 소리만 들려왔다. 하늘의 목소리로 여기에 사람이 있느냐고 물었다. 그러자 구간들이 우리가 여기 있습니다고 대답하자, 이곳이 어디냐고 물었고 다시 사람들이 구지봉이라고 답하였다. 이에 다시 옥황상제께서 내게 명하시기를 이곳에 와서 나라를 새롭게 세워 임금이 되라 하였으니, 너희들은 구지봉의 흙을 파면서, 거북아, 거북아. 머리를 내어라. 내밀지 않으면 구워서 먹으리. 하고 노래를 부르며 춤을 추어라. 그러면 곧 하늘에서 내려 주는 대왕을 내려주실테니 그를 맞이하여 기뻐서 춤추게 될 것이라고 하였다. 이에 구간들이 그 말을 따라 사람들과 함께 빌면서 노래를 부르며 춤을 추었다. 10여 일 후에 하늘에서 황금 알 여섯이 내려와 각각 사람으로 변했는데, 그중 맨 처음 태어난 사람의 이름을 수로 또는 수릉이라 하여, 그가 세운 나라를 대가락 또는 가야국이라고 했고, 나머지 다섯 사람도 각각 다섯 가야의 왕이 되었다.
이 작품은 삼국유사 가락국 건국 신화 속에 삽입되어 전하는 고대 가요이다. 가락국의 군중이 임금을 맞이하기 위해 불렀던 주술적인 노래로 영신군가(迎神君歌)에 해당하며, 구지봉영신가 라고도 한다. 본래는 우리말로 노래를 했으리라 추측되나 고려때 유사에 채록되는 과정에서 4구체의 한역 시가 형태로 전한다. 수백 명의 사람들이 모여 흙을 두드리며 노래를 불렀다는 점에서 집단적이고 제의적 성격이 짙은 노동요로 분류될 수 있으며, 땅을 파는 연극적 행위와 춤, 노래가 함께 이루어진 장면을 통해 원시 종합 예술의 형태를 짐작하게 한다. 특히 위협을 통해 목적을 이루려는 주술 문학의 성격을 보여준다.
그런데 이상한 점은 하늘의 소리를 낸 주체가 누구인가 하는 점이다. 자신을 옥황상제의 명을 받고 이곳을 다스리기 위해 왕이 될 사람으로 소개하는 그는 바로 수로왕일 가능성이 높다. 잘하자면 자신이 왕이 되기 위해서 고스톱을 미리 짜고 치는 것이다. 아홉 개의 세력들인 구간 중 일부가 미리 수료왕과 야합하여 자신을 공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요즘 한창 국회에서 여야가 공천을 하는 방식과 유사하다 말하자면 자신과 친하거나 후에 이익을 함께 도모할 사람에게 공천을 주는 것이다. 두 번째로 이해하기 어려운 것은 거북이의 머리이다. 그들은 땅을 파면서 거북이를 잡았고 머리를 몸밖으로 내놓지 않는 거북에게 불로 구워서 먹겠다는 협박을 한다. 아마도 거북에 대한 위협에는 거북이 머리가 나와서 무언가 어떤 임무를 해주어야 하는 과정이 있는지도 모르겠다. 말하자면 김수로왕을 점지하거나 지목하는 등의 행위일 수도 있다. 그런데 거북이는 쉽사리 머리를 내놓지 않는다. 그래서 구간들이 거북을 불로 구우먹겠다고 위협을 가한다. 그것이 한마디로 겁만 주려고 하는 빈말인지 아니면 정말로 잡아먹겠다는 것인지 알 수 없다. 그리고 결말에서도 거북이가 머리를 내놓았는지 아닌지는 말이 없고 수로왕은 결국 여섯개의 알중 하나로 강천하였다.
소설에는 아홉세력, 수로왕, 수로왕 대리인, 거북이, 상징적 불의 세력 등등의 캐릭터들이 등장할 수 있다. 그런데 불은 인간의 문명을 상징하기도 하고 동시에 파괴하기도 한다. 먼저 보조적 인물들로 구간들은 수로왕을 즉위시키려는 긍정적 세력이다. 그리고 거북은 그 즉위 과정에 동원된 신성한 자혹은 기득권 세력일 것이다. 다만 불의 세력이 거북을 위협하는 관계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불의 세력은 수로왕은 돕는다면 우군이고 돕지 않는다면 처단할 갈등의 인물이다. 신령스러운 존재인 소설의 주인공 수로왕을 위해 거북 세력을 위협한 것은 거북 세력의 우두머리, 즉 과거의 왕으로 볼 수 있다. 말하자면 씨족 사회에서 부족사회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생겨나는 갈등과 극적인 대단원을 꾸미기 위한 스토리텔링으로서 거북 세력과 불의 세력간의 갈등을 통해 새로운 왕인 수로왕이 즉위한 것은 아닐까? 가야인들은 실제 행동으로 거북세력의 우두머리를 내어놓으라는 명령을 통해 마침내 수로왕이 즉위하게 되는 과정이 이 노래에 담겨있는지도 모른다.
강의 신 하백의 이야기 (26) | 2024.03.07 |
---|---|
혜공대사의 똥과 고기 (20) | 2024.03.06 |
소설 기원에 대한 생각들 (35) | 2024.03.03 |
명당에서 깨달은 두 친구 (18) | 2024.03.02 |
지철로왕(智哲老王) = 지증왕, 64세에 즉위한 왕 (60) | 2024.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