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 google7f94a714bae2f226.html
사람들은 어떻게 권력의 손아귀에 잡혀들어가게 되는가, 그 과정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그 권력의 정점에 선 영웅은 그야말로 허상에 불과한 것이라는 진실을 까발린 소설이 있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이 바로 그 이야기이다. 아이들의 이야기를 통하여 성인들의 자화상을 희화화한 이 작품은 이문열의 초기작으로 문학사상에 1987년도 실린 소설이다.
자유당 정권 말기를 시대 배경으로 하여, 시골 국민학교에서 벌어지는 사건을 통해 권력과 그 주변 인물의 속성을 엄석대라는 급장 즉, 권력자 그리고 그의 주변에서 충성을 다 하다가 결국 무섭게 변절하는 아이들의 기회주의 근성이 인간의 속성으로 작중에서 그려진다. 권력의 무상함과 거기에 기생(寄生)하는 변절적 순응주의가 작품의 배경이라 할 수 있다.
권력의 양과 음
작중 주인공 나는 아버지의 좌천으로 서울의 명문 국민학교에서 Y읍의 초라한 곳으로 전학온 한병태이다. 학급 반장 엄석대는 담임 선생의 신임과 아이들의 절대적 복종을 받으며 군림하고 있그 누구도 대항할 엄두를 내지 못한다. 처음에 병태는 엄석대의 폭력과 비행을 담임에게 고발하지만 오히려 시기와 질투로 인식되어 배척받고 소외당한다. 결국, 엄석대에게 굴복하고 동조한다. 이 과정에서 아이들의 권력지향과 포기한 사람의 피지배적 적응이 진행된다. 6학년이 되자 새 담임의 개혁 의지로 엄석대 체제는 몰락한다. 학급은 새로운 체제의 환경에 시행 착오를 격지만 점차 용기를 얻고 민주적 질서를 회복한다. 이 장면에서도 민중들은 몰락한 권력에 재빠르게 등돌리는 기회주의를 드러낸다.
양가적 변절자들의 세상
혹자는 이 작품을 한국적 정치 현상을 우의적(寓意的)으로 표현했다고 평가한다. 하지만 절대 권력에 이기적으로 적응하는 소시민적 근성이 부정한 권력과 독재에 맞서는 민주적 주인의식으로 변질되어 그 변절이 정당화되고 그로 말미암아 과거 잘못된 권력에 충성했던 그들의 오류를 정당화시키는 문제는 양가적인 모순이 된다. 소위 별절한 군상은 양립할 수 없는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다가 스스로 모순에 빠지는 오류를 반복할 수밖에 없는 일이다. 그것은 스스로에게 주체를 소멸시키는 방식으로 부과하는 형별과도 같다.
구의 증명 - 최진영 (0) | 2023.07.30 |
---|---|
저녁의 게임 – 오정희 (2) | 2023.07.29 |
이문열의 필론의 돼지 (0) | 2023.07.29 |
파트리크 쥐스킨트 (Patrick Suskind)의 향수 (0) | 2023.07.28 |
꿀벌의 예언 (0) | 2023.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