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 google7f94a714bae2f226.html 에이허브- 모비 딕에 대한 복수의 화신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에이허브- 모비 딕에 대한 복수의 화신

소설공부

by 북스톰 2023. 12. 28. 00:40

본문

반응형

에이허브- 모비 딕에 대한 복수의 화신

 

에이허브라는 인물을 어떻게 볼 것인가

     허먼 멜빌의 소설 모비딕은 미국 문학의 고전으로 손꼽히는 작품이지만, 매우 방대한 분량으로 이루어져 있어 그 인물 자체를 이해하기가 난해하다. 그리고 그 인물이 마치 영웅이나 신처럼 항간에 떠도는 소문으로 알려져 있어서 인물자체가 과대포장된 분위기로 나레이터인 이스마엘에게 전해진다. 이때 독자들도 뭔가 그가 엄청난 인물이라는 생각을 들게 한다. 스토리 라인 전체의 핵심인 에이허브는 모비딕이라는 백경에 대한 복수심과 그 집착으로 인해 결국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한다. 그러나 에이허브의 집착이 단순한 복수심에서 비롯된 것인지, 아니면 더 복잡한 심리적 요인이 작용했는지에 대한 해석은 문학연구자들마다 의견이 분분하다. 그러나 복수를 위해 자신의 목숨까지도 바쳐가면서 복수 자체가 그의 삶의 목적이 되어버린 복수의 화신이라는 점에서 무협지에서 영원한 주제가 된 복수의 절대화가 극단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인간에게 있어서 복수는 무엇인가.

     에이허브가 자신의 죽음도 불사를 정도로 복수가 집념으로 자리잡는 것은 인간에게 있어서 복수가 대단히 중요한 개념이 아닐 수 없다. 통상 복수란, 자신이나 타인에게 가해진 피해에 대해, 가해자에게 동일한 피해를 입히는 행위를 말한다. 복수는 인간의 기본적인 감정 중 하나로, 피해를 입은 사람이 느끼는 분노, 분노, 고통 등의 감정으로부터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복수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공적 복수로, 국가의 법에 따라 가해자에게 형벌을 가하는 것을 말한다. 두 번째는 사적 복수로, 피해자나 피해자의 가족, 친지 등이 가해자에게 직접적인 피해를 입히는 것을 말한다. 바로 이 두 번째 경우가 에이허브에게 적용되는 것이다.

     모비딕에서 자신의 다리가 먹힌 에이허브의 복수는 피해자의 분노와 그 분노를 해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에이허브의 복수는 가해자인 모비딕에게 과도한 피해, 결국 고래를 죽이는 일일 것이다. 통상 사적인 복수는 위법적이라해도 개인적으로는 그 복수가 정당하다는 관점이 생기기 마련이다. 피해자가 가해자에게 입은 피해를 보상하고, 피해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정당한 행위라는 입장이다. 하지만 이런 가설은 그 생다개 인간일 경우에 해당된다. 고래는 복수자체가 정당하다거나 위법한 것으로부터 자유롭다 오직 그 고래를 죽이는 일은 개인적이지만 복수가 선을 악으로 응징하는 행위이라든가, 결국 더 큰 악을 낳을 수 있다는 가정도 필요 없는 것이다. 결국 어떻게 해서든 모비딕을 죽이는 것이 최선의 복수이고 지상과제이다. 그렇다면 이런 정신상태에서 그 어떤 조건이나 제약도 무시될 수 있다 심지어 자신의 죽음도 불사하고 에이허브는 모비딕을 죽여야 하고 그것이 바로 그의 삶의 목적이고 존재의 이유가 된 것이다.

 

왜 극단적인 것들이 예술적인가.

모비 딕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지나치게 극단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 약점인 동시에 매력이라고 할 수 있다. 에이허브는 정상적인 사람이 아니고 복수에 미쳐버린 사람이다. 때문에 소설에서 포경 방법이라든가 고래에 대한 복잡다단한 이해와 학문적인 접근들도 모두 모비딕에 대한 복수로 수렴되어 그려진다. 그래서 작품의 주제가 너무나 추상적이고 난해하다는 것도 묻혀버린다. 그리고 방대한 분량과 산만한 서술 역시 극단적이라 할 수 있다. 모비딕은 총 135챕터, 500페이지 이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처럼 방대한 분량으로 이루어진 작품은 독자에게 부담을 줄 수 있다. 또한, 작품의 서술이 다소 산만하고 지루하다는 지적도 있다. 특히, 포경에 대한 기술적인 설명이 지나치게 많아 이 역시 극단적이다.

    에이허브는 그의 극단적 성격으로 인해 스스로 종말을 고한다. 에이허브는 모비딕이라는 백경에 대한 극단적 집착으로 인해 결국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한다. 모비딕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지나치게 극단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에이허브는 복수심에 가득 찬 인물이며, 이슈마엘은 현실을 초월한 이상주의자이다. 이러한 극단적인 성격의 등장인물들은 작품의 현실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그러나 그 극단성으로 말미암아 에이허브라는 소설의 인물에 대한 예술적 형상화에는 성공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