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 google7f94a714bae2f226.html 소설인물창작론- 인물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소설인물창작론- 인물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

소설공부

by 북스톰 2023. 9. 17. 00:11

본문

반응형

소설인물창작론- 인물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

 

소설의 중심으로서의 인물

     소설이란 누군가 무언인가에 대한 이야기를 함으로써 생겨난다. 다시 말해 소설은 하나의 이야기이다. 이야기는 언어를 통하여 고정되며 그 고정의 과정에 여러 가지 요소들 가령, 문학적 장치, 작가의 세계관, 사회의 가치들, 동자의 관심 등이 포함된다.

     소설은 작가가 스스로 의도한 바에 따라 현실의 삶은 허구로 재구성하여 서술한 산문의 이야기이다. 이때 인물의 행동이나 성격, 혹은 관계된 사건묘사를 통해 소설세계에서 일어나는 관계들을 묘사한 것이다. 인간은 비록 혼자라 하더라도 그가 존재하고 또 종족번식의 수단으로 개체를 생산하고 무엇이나 누구와 최소한의 관계를 맺고 있는 이상 사회적 존재이다. 그리고 소설은 그러한 인간의 이야기를 다룬다. 그러므로 소설은 사회적일 수밖에 없다. 소설이 인간의 내면 세계를 그리든지 사회현실을 반영하든지 결국 개인이 사회에 속한 이상 소설은 사회적인 것이다.

     사회는 끊임없이 변동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인간의 내면세계나 가치관 역시 하루가 다르게 변하고 있다. 소설은 밖으로는 사회현실 인간의 가치관 변화 내면의 갈등 등으로 압력을 받고 내적으로는 허구의 재구성과 창조적 방법론과 순수성 등에 압력을 받으며 변화하고 있다. 결국 소설은 완전히 굳은 문학장르가 아니다. 얼마든지 바뀌고 달라질 수 있다. 인간의 삶이 바뀌고 그 인간의 형상화인 소설작중인물의 변하는 것은 당연한 귀결이다.

     소설이라는 문학 장르의 중의 한가지 양식을 이해하는 데에는 예술성이라는 특수성과 변형된 이야기라는 특수성 때문에 복합적인 성격을 띄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리고 그 복합적 요소들은 역사적, 사회적인 부분과 작가의 성향과 미의식, 시대정신, 세계관 등이 종합적으로 영향을 준 적층적 문화의 소산인 것이다소설의 중심부에는 언제나 인물이 놓여있다. 그는 누구인가. 어떤 시대적 공간적 위치에 놓인 인물인가. 어떤 성격인가. 그 인물은 무엇을 원하는가. 그는 누구와 관계되어 있나 등등이 소설의 사건이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인물의 유형 나누기

역할에 따라 나누기

주동 인물 : 작품에서 중심적 역할을 하는 인물.

반동 인물 : 주동 인물과 갈등 혹은 대립하는 인물.

보조인물 : 주동인물을 보조하는 인물

기타인물 : <NPC>특별한 역할은 없으나 작중에 존재하는 인물

성격에 따라 나누기

전형적 인물 : 한 시대나 계층을 대표하는 인물.

평면적 인물 : 작품 속에서 성격이 변하지 않는 인물로 정적 인물이라고도 함.

입체적 인물 : 환경이나 사건의 진행에 따라 성격이 변하는 인물로 원형적 인물

발전적 인물(developing character)이라고도 한다.

 

인물의 제시 방법

직접적 방법 : 작중 화자(서술자)가 인물의 성격을 직접 설명하는 방법으로 해설적 방법 또는 분석적 방법이라고도 한다.

직접적 방법 : 인물의 대화나 행동 등을 보여줌으로써 성격을 묘사하는 방법으로 극적 방법이라고도 한다.

인물의 갈등

내적 갈등 : 한 인물에게 일어나는 둘 이상의 마음이 갈등하는 것. 심리적 갈등.

외적 갈등 : 개인과 개인사이의 갈등, 개인과 사회사이의 갈등, 개인과 운명의 갈등.

 

인물형상화는 어떻게 하나

     작중인물의 성격을 묘사하는 방법은 전통적 소설에서의 성격 묘사로서 그 특성을 개개의 작중인물에게 부여하는 것을 말한다. 먼저 유전과 환경에 의한 일반적 특성 둘째, 신체적 성질의 신체적 특성. 셋째, 개인의 사회적 및 윤리적 측면의 개인적 특성 넷째, 개인의 정신적 심리적인 정서적 특성이 그것이다. 이외에도 소설에서 인물을 형상화하는 방법은 다양하다할 것이다. 

 

작중인물의 성격을 드러내고 그 인물을 입체적으로 만드는 기법

     첫째, 만인 공통의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 생김새, 동작, 말 등으로 입체화한다. 둘째, 민족적 일반 특성인데 국가 속한 지리, 문화, 언어, 역사등을 통해 형상화한다. 셋째, 지역적 일반 특성으로 지역, 계층, 방언, 배경, 근성, 기질, 분위기 등이 있다 넷째, 집단적 일반 특성은 그의 직업, 상업체, 교사등의 직군, 군인 등의 집단의 특징을 보여준다. 다섯째는 신체적 특성이다, 체격, 체력, 정신적, 도덕적, 정서적 능력 등이 포함된다. 여섯째로는 개인적 특성인데 용감한 성격, 겁쟁이, 이기적, 이타적, 진실과 위선 그리고 비굴, 겸손, 교만 등의 개인적 사항을 부각시킨다. 마지막으로 정서적 특성이 있다. 인물이 가지고 있는 분위기, 신체적 문제, 신분이나 취향 등의 개인적 특성에 기인한다.

 

일상과 인물

     허구적 인물의 가장 심혈을 기울여서 만들어야하는 부분은 그의 실생활이다. 특히 심리학 같은 이론으로 현실감 없는 인물의 성격을 만들어서는 안된다. 가령 소설의 인물 성격에서 질투를 심리학적으로 분석하는 것보다 질투를 일으킨 상황과 결과가 어떤 사건이 발생시켰는가가 더 중요하다.

     이처럼 일상에서의 환경과의 갈등은 인물의 성격을 잘 드러내 준다. 그러므로 성격의 참된 면모는 행동에 의해서 드러난다. 동시에 독자는 그 행동이 취해지기 이전에 작중인물의 정신적 반응과 진행과정 그리고 결과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한다. 일상적 현실 생활에서 자아 발견과 자아 각성은 그의 성격을 종합적으로 드러내 준다. 일상이 그의 전반적인 성격화과정과 성격 완성을 모두 포함하기 때문이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