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 google7f94a714bae2f226.html
소설창작에 있어서 인물의 전형성을 정하는 것과 변화에 따라 형상화하는 것에는 상당한 차이점이 있다. 그리고 작중의 인물에 대한 평가는 인물이 수행하는 사건에 대한 평가 없이는 불가능하다. 독자들이 인물의 속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그가 야기한 사건을 검토해 보아야 한다. 동시에 인물이 야기한 사건은 그의 기능을 나타낸다. 프랑스의 소설이론가 Souriau는 인물의 기능의 종류를 다음의 여섯 가지로 나누었다. 1.주동자, 2.반대자. 3.발동자, 4.수동자, 5, 대상자, 6.보조자. 그리고 이들은 어떤 방식으로 결합되는냐에 따라 수많은 상황을 낳게 된다고 보았다. (김화영역, 소설이란 무엇인가, pp.231-233, 참조)
어떤 인물이 어떠한 사건에 연관되어 있으며 인물들 상호간의 관계성을 알기 위해서는 그 관계망에서 인물이 어떻게 변화하였고, 어떤 성격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가를 알아야 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작품에서 인물이 보여주는 일련의 기능 성격, 애정, 신분의 변화과정을 통해 드러나는 바에서 으미를 찾을 수 있다. 인물의 변화양상에서 발생하는 아이러니는 상대자와의 관계에서 드러난다. 또한 인물의 변화는 작품의 전개 과정에서 단계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변화된 인물의 유형 명칭은 그 역할에 따라 정해지고 전 단계의 유형을 고려하여 복합적인 유형을 의미한다. 수리오의 이론을 발전시킨 끌로드 부르몽은 행동자와 수동자 사이에서 발생되는 인물의 기능을 다시 세분화하였다. 그것을 나누면 다음과 같다. (김화영역, 소설이란 무엇인가, 상게서, pp234-235. 참조.)먼저 행동자와 수동자는 1영향자, 2.변화자, 3.보수자로 나뉜다. 그리고 영향자는 다시 1-1정보제공자와 1-2은폐자로 나뉜다. 변화자는 2-1개선자와 2-2훼손자 그리고 보수자는 3-1보호자와 3-2보수자로 나뉘게 된다. 그리고 그 하위 개념으로 각각 간요자와 금지자. 그리고 유혹자와 협박자, 그리고 권유자와 만류자로 나뉜다.
행동자 - 수동자
영향자 변화자 보수자
정보제공자/은폐자 개선자/훼손자 보호자/보수자
강요자 - 금지자 유혹자 - 협박자 권유자 – 만류자
그러나 인물유형도 작중의 스토리 전개와 인물의 자각 혹은 작가의 의도에 따라 그 기능이 바뀌게된다. 그리고 여기에 소개한 네 가지 변화 이외에도 상황과 정신적 수준, 종교나 신념 등에 의해 더 많은 유형들이 발생하게 된다. 다만 여기에서 일례만 제시하는 것은 실제 창작에서 이런 식의 전략도 있다는 것을 설정한 것이다.
①기능변화형
기능변화형 인물은 자신의 기능이 변화되면서 아이러니를 발생시킨다. 작품에서 한 인물이 지녔던 기능은 작중에서 인물의 관계망을 통해 사건에 개입되면서 기존의 기능이 변화한다. 그때 그 기능의 변화가 작자와의 거리 혹은 인물의 인식의 차이 등의 요인을 갖게 된다. 그때 야기된 아이러니는 인물의 기능변화에서 발생되는 것이다.
그들은 기능에 성격에 따라 .수동자, .원조자, .동조자, .참가자로 변화할 수 있다. 여기서 ,.의 내용은 개선적 변화자에 해당되는 것이다. 다만 변화의 단계를 기능의 변화로 원조, 동조, 참여라는 기능명으로 세분화하였다.
②성격변화형
성격변화형 인물은 작중에서 성격이 바뀌는 인물을 말한다. 그 인물이 비극의 대상이 된 것은 참된 사랑을 모르는 아이러니의 희생자이기 때문이다. 성격변화형 인물과 아이러니와의 관계성은 이 유형의 인물들이 아이러니의 인식과정에 의해 스스로 삶에 대한 대처의 일환으로 성격을 바꾼 데 있다.
③애정변화형
애정이라는 행동의 기능으로 대개 1.주동자, 2.유혹자, 3.협박자, 4.실패자의 단계를 거친다. 바람둥이인 그가 2단계로 변화하여 젊은 미인을 유혹하는 것은 그의 타락한 면모에 부합된다. 그러나 3단계로 그 애정을 위한 행동이 바뀔 때 그 인물이 자신의 인물 자체와 재산까지도 좋아하지 않는다는 것을 상황을 야기시키게 된다.
④신분변화형
신분변화형 인물은 작품의 처음과 끝에서 사회적 신분이 변화한 인물을 말한다.
지금까 제시한 수리오와 클로드 부르몽의 인물분류 중 일부를 소개하였으나 이것이 실제로 소설의 전체적인 인물의기능과 역할을 구분짓는 것은 아니고 혹시 창작을 하는 작가 지망생의 인물형상화의 도움이 될만한 창작론의 일부라 여기면 좋겠다.
소설장르의 특성 (18) | 2023.10.06 |
---|---|
소설은 어떻게 생겨났을까? (10) | 2023.10.04 |
액자플롯의 소설 전략 (8) | 2023.09.24 |
소설인물창작론- 인물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 (1) | 2023.09.17 |
소설에서 상징 살펴보기 (6) | 2023.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