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 google7f94a714bae2f226.html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라는 저서는 미국의 소설가 마크 트웨인이 쓴 에세이로서, 인간의 가치와 도덕적인 고민을 탐구한다. 이 책은 작가의 경험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사고와 관점을 제시하며 인간의 행동과 의도에 대한 비판적인 관점을 제공한다. 에세이는 1897년에 발표되었으며, 작가는 그동안의 삶과 사회에 대한 불만과 의문을 품고 있다. 그는 돈과 권력을 얻기 위한 경쟁적인 사회에서 인간의 가치가 어떻게 평가되는지에 대한 고민을 하며, 자본주의와 소비문화의 부정적인 영향을 강조한다.
마크 트웨인은 사람이 돈을 얻거나 권력을 행사하기 위해 희생하거나 도덕적인 원칙을 어기는 행동을 하는 것이 인간의 진정한 가치를 희생하는 것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그는 자본주의의 문제와 돈의 중요성을 비판하며, 이를 통해 인간의 삶을 더 의미 있게 살아가기 위해 내면의 가치와 도덕적인 선택을 중요하게 강조한다. 결국 이 책은 독자들에게 돈과 성공의 중요성을 되짚고, 진정한 행복과 만족을 찾는 데 도움을 주는데 독립적인 사유를 통해 인간 존재의 본질과 의미를 논의하며, 독자들에게 생각의 진정한 가치를 상기시켜준다고 할 수 있다.
마크 트웨인의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는 한 노인이 젊은이에게 인생의 의미를 묻는다는 내용으로 노인은 젊은이에게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라는 질문을 던지고, 젊은이는 돈, 명예, 권력 등 세상에서 성공하는 것이 인생의 의미라고 대답한다. 하지만 노인은 젊은이의 대답에 만족하지 못하고,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인생의 의미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해준다.
노인은 인생의 의미는 세상에서 성공하는 것이 아니라, 사랑하고 사랑받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는 자신이 사랑하는 아내와 가족을 위해 일하고, 그들에게 사랑을 베풀며 살아왔고, 그 속에서 삶의 의미를 찾았다고 이야기한다. 또한, 노인은 자신이 경험한 인생의 덧없음과 허무함을 이야기하며, 진정한 행복은 세상의 부귀영화에 있는 것이 아니라, 사랑과 나눔에 있다고 강조한다. 노인은 다름 아닌 마크 트웨인 자신인 것이다.
이 작품은 세상에서 성공하는 것만을 인생의 목표로 삼는 현대인들에게 일침을 가하며, 사랑과 나눔의 중요성을 일깨워준다. 먼저 사랑과 나눔의 중요성이 제시된다. 사랑을 나누어주지 않으면 그것은 정체되어 있는 감정이 불과하지만 타인에게나누어줄 때 비로소 사랑이 되는 것이 아닐까 한다. 다음으로는 인생의 덧없음과 허무함이다 한평생 살고 보니 노인이 되어 느낌는 허무함과 덧없음은 젊은이들이 체감할 수 없는 것들이다. 하지만 노인의 입장에서는 젊은이들에게 하나의 충고가 될 수 있느 소중한 느낌이다. 특히 허송세월 하거나 삶에서 제자리를 찾지 못하고 방황하는 이들에게는 더 없는 소중한 충고가 될 터이다.
이 작품을 읽고 나면 많은 생각이 들지만 가장 먼저 세상에서 성공하는 것만이 인생의 의미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모든 인생은 의미가 있고 세속적인 성공이 모든 의미에서 가장 빛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성공은 객관적이라거나 쉽게 규정할 수 있는 명확한 것도 아니다 상대적인 입장에서 성공에 대한 평가는 언제나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사랑과 나눔을 통해 진정한 행복을 찾을 수 있다는 마크 트웨인의 말은 매우 설득력이 있다. 물질적으로 혹은 사회적으로 성공을 한 사람도 그 사람의 사랑을 베풀지 못하고 다른 사람들로부터 사랑을 받지 못하면 진정한 행복을 찾기란 어려운 것이다. 다음으로는 인생은 덧없고 허무하므로, 지금 이 순간을 소중히 여겨야 한다는 충고이다. 젊은이들에게는 인생의 시간이 매우 느리게 가고 노인들에게는 무척 빠르게 간다는 말이 있다. 자금 이 순간을 소중하게 여기고 매시간을 사랑하고 최선을 다한다면 거기서부터 행복을 찾게 될 것이라는 작가의 말은 의미가 있다. 그리고 그와 관련하여 인생의 의미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작품을 통해 우리는 삶의 가치와 목표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이다.
장자의 인생론이 현대사회에도 적용이 될까? (8) | 2023.12.26 |
---|---|
<우리는 지금 문학이 필요하다>앵거스 플레처 – 문학의 존재와 그에 대한 생각들 (20) | 2023.11.21 |
<촛불의 미학> 가스통 바슐라르 – 촛불의 상징성 (7) | 2023.11.19 |
<물의 꿈> 가스통 바슐라르 – 물의 이미지를 넘어선 물의 총체성 (10) | 2023.11.10 |
<셀프 퓨쳐>벤저민 하디 -> 멋진 미래의 나를 만드는 길 (19) | 2023.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