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 google7f94a714bae2f226.html
송(宋)나라 몽(蒙)이라는 곳에서 태어난 장자의 본명은 주(周)이다. 기원전 369년부터 기원전 286년 사이에 살았다. 장자는 여러 나라를 방문하면서 다른 유학자들과 토론하고, 그의 사상을 전파했다. 장자는 송나라의 관리였으나, 정치에 관심이 없었고, 철학을 연구하고 강연하는 일에 전념했다. 그는 저작은 남화진경(南華眞經)이라고도 불리며, 도교의 성경 중 하나이다. 장자는 노자와 함께 부를 때 노장(老莊)이라고 불리며, 도교에서는 남화진인(南華眞人) 또는 남화노선(南華老仙)이라고 부른다.
그는 유학자들이 말하는 도덕적 가르침이나 인위적인 제도, 권력이나 이익을 추구하는 것을 거부했다. 그는 인간의 인식이나 판단이 객관적이고 확실한 것이 아니라, 주관적이고 상대적이라는 것이다. 그의 인생론은 한마디로 자유롭고 평화로운 삶을 위한 도의 실천이다. 인간과 자연의 조화, 자유와 평화, 상대주의와 같은 특징을 지닌다. 장자의 인생론이 과연 오늘날의 사회에서 이상적인 삶의 방식으로 효과를 거두기란 어렵다. 그러나 지구상에 모든 전쟁이 끝나고 완전한 평화과 실천해볼 만도 한 멋진 아이디어가 아닐까 한다.
장자는 도가 만물의 근원이자 원리라고 하면서도, 도는 말로 표현할 수 없고, 인간의 이해를 초월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장자의 사상은 노자의 사상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그보다 더 깊이 있고 폭넓다는 평가르 받는다. 장자는 도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기보다는, 비유나 우화, 역설 등을 통해 도의 본질을 설명하려 했다.
장자는 만물 일원론을 주창했는데 만물이 도에 의해 변화하고, 상호 작용하며,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강조한다. 그는 인간이 자연의 법칙에 따라 살아가야 한다고 하면서도, 인간의 본성은 자유롭고 즐거운 것이라고 했다. 장자는 자유와 평화를 중시하면서 인간의 본성을 억압하거나 왜곡하는 것을 비판했다. 그는 인간이 자신의 본심에 따라 살아가고,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평화롭고 쾌적한 삶을 누리는 것을 권장한 것이다.
장자는 인간이 자기 육체와 정신, 즉 자기의 존재를 중요하게 여기고, 이를 위해 노력하고 경쟁하면서 근심의 근원을 만들어낸다고 비판했다. 그는 인간의 삶이 근심과 고통으로 가득하다고 인식했다. 이런 생각은 삶을 고해로 보는 불교와도 일맥상통한다. 그런데 장자는 인간이 자기 육체와 정신을 버리고, 도에 따라 살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여기서 독자들은 난제에 부딪친다. 도를 이해하기가 너무나도 어렵기 때문이다. 장자가 말하는 도는 말로 표현할 수 없고, 인간의 이해를 초월하는 것이다. 따라서 장자는 도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기보다는, 비유나 우화, 역설 등을 통해 도의 본질을 알려준다.
장자가 말하는 도는 만물의 근원이자 원리이다. 그 실천의 방식인 허점은, 자기 육체와 정신을 비우고, 도에 맡기는 것이다. 장자는 도에 따라 살아가는 삶을 허점(虛靜)과 연담(恬淡)이라는 두 가지 심경으로 표현했다. 염담은 자신의 욕망과 감정을 달래고, 도에 안주하는 것이다.
장자는 이러한 심경을 갖춘 사람이 자연의 법칙에 따르고, 어떠한 것에도 침해받지 않는 자유와 독립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그런데 도를 알지 못한다면 사람의 근원을 알지 못하는 것이고 허점이라느 방식으로 온전하게 자신을 도에 맡기는 것이 불가능한 것이다. 하여간 장자는 이러한 삶을 실현한 사람을 진인(眞人) 이라고 부르며, 이 인생론의 근본에는 세계는 불가지의 실재인 도의 표상이라는 세계관과 개념적 인식과 가치판단은 불가능할 뿐 아니라 무의미한 것이고, 철저한 무(無)지만 올바른 것이라고 주장한다.
결국 장자는 인간이 자기 육체와 정신을 버리고, 허점과 염담의 심경으로 도에 따라 살아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의 인생론은 자유롭고 평화로운 삶을 위한 도의 실천이라고 할 수 있지만, 이해하기 어려운 도가 만물의 근원이자 원리라는 것이다. 장자를 읽고나면 온 우주가 어마어마하기 때문에 몇몇 독자는 현실의 사소한 것들을 훌훌 털어버리는 대인배의 호연지기 같은 것을 느끼지만 과연 그것이 무엇이고, 그 이상을 따라 어떻게 살 것인가 하는 것은 막막하기가 그지없다.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마크 트웨인 – 인간의 가치와 그에 대한 고뇌 (6) | 2023.11.22 |
---|---|
<우리는 지금 문학이 필요하다>앵거스 플레처 – 문학의 존재와 그에 대한 생각들 (20) | 2023.11.21 |
<촛불의 미학> 가스통 바슐라르 – 촛불의 상징성 (7) | 2023.11.19 |
<물의 꿈> 가스통 바슐라르 – 물의 이미지를 넘어선 물의 총체성 (10) | 2023.11.10 |
<셀프 퓨쳐>벤저민 하디 -> 멋진 미래의 나를 만드는 길 (19) | 2023.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