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 google7f94a714bae2f226.html <테스>와 <주드>토마스 하디 – 세계에 맞서는 용기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테스>와 <주드>토마스 하디 – 세계에 맞서는 용기

소설책

by 북스톰 2023. 12. 29. 08:34

본문

반응형

<테스><주드>토마스 하디 세계에 맞서는 용기

 

시대적 부도덕함을 거부한 테스

     하디의 명성을 드높여 준 작품은 일명 테스로 잘 알려진 더버빌 가의 테스그리고 이름 없는 주드이다. 테스는 가난한 농부의 딸 테스가 도덕적 편견, 사회적 인습 속에서 몰락해 가는 이야기이다. 테스는 하녀로 일하던 중 주인집 아들 알렉에게 겁탈당해 미혼모가 되었으나, 목사의 아들 에인절과 다시 신분을 초월한 사랑을 이룬다. 그러나 남편 에인절에게 과거를 고백하여 버림받고, 여러 고난을 겪다 자기 앞에 다시 나타난 알렉을 우발적으로 죽이고 사형당한다. 일견 통속적인 연애소설로 보이지만, 등장인물의 다면적인 성격 및 인간의 내면 심리에 관한 통찰력 있는 묘사가 빛나는 작품이다. 또한 19세기 말 영국 사회의 인습과 편협한 종교인들의 태도를 공격했다. 그 당시 관점에서 본다면 남녀 간의 관계를 성적인 측면에서 대담하게 폭로한 당대의 문제작이었다. 테스는 하디가 49세 때인 1889년에 집필하기 시작했는데, 미혼모 문제, 치정살인 등 소재가 불건전하다고 하여 출간을 거부당하다가 1891년에야 출간할 수 있었다. 이 소설은 소재만으로도 논란거리가 될 만했는데, 하디가 부제를 '순결한 여인'으로 붙이면서 보수주의자들의 어마어마한 공격을 받았다. 타락한 여주인공을 그린 것도 모자라서 그녀를 순결한 여인이라고 칭한 데 대해 부도덕하다고 비난한 것이다. 그러나 몇몇 사람들은 이 작품이 '사회의 위선을 거부하는 탄원서'임을 서서히 깨닫게 되었다 그리고, 하디는 작가로서 명성을 얻게되었다.

 

<주드> - 시대를 앞서간 비판자의 비극

     1895년에 이름 없는 주드(이하 주드)를 발표하면서 하디는 또다시 보수주의자들의 비판의 표적이 되었다. 이 작품은 가난한 시골 청년 주드가 인습과 제도에 저항하다 비극적 종말을 맞는 이야기이다. 주드는 야망을 이루고자 도시로 올라왔으나 계급적 한계에 직면해 허위의식과 위선으로 가득 찬 세계에서 배척당하고 절망에 빠진다. 여기에 불행한 결혼 생활을 뒤로하고 사촌 수와 관습을 뛰어넘은 사랑을 이루지만, 결국 이 관계마저 파국을 맞고 쓸쓸하게 죽는다. 하디는 테스에서 시작된 사회비판적 목소리를 주드를 통해 전력을 다해 쏟아 냈다고 하며, 이 작품을 통해 교육, 결혼, 종교, 계층 의식 등 모든 불합리한 사회 제도를 통렬하게 비판했다. 하디의 용감한 문제 제기는 테스때보다 더 많은 비판을 낳았다. 한 영국 잡지는 (찰스 다윈이 진화론을 주장했을 때 원숭이를 조상으로 두었다는 풍자화의 대상이 된 것처럼) 저속하고 뚱뚱한 거인이 진흙구덩이에 장미를 짓밟으면서 방관자들에게 오물을 끼얹는 모습의 풍자 삽화를 그렸으며, 웨이크필드 교구의 주교는 공적인 장소에서 책을 분서하기까지 한다. 이에 하디는 충격을 받고 다시는 소설을 쓰지 않기로 한다.

     하지만 비난에 비례하여 작가로서의 명성도 드높아졌다. 주드는 빅토리아 시대의 인습을 지적하고 20세기적 사고방식으로 옮겨 가는 당시의 지적, 사상적 움직임을 반영하고 있다. 동시에 다면적인 등장인물, 인물의 내밀한 심리 탐구 등 새로운 감각과 기법을 도입하고 있기도 하다. 그런 의미에서 이 작품은 영국 소설에 있어 19세기에서 20세기로 넘어가는 가교 역할을 한다고 평가받으며, 하디를 위대한 영국 소설가 중 한 사람의 반열에 올려놓았다.

 

위대한 작가 하디에 대해 알아보기

    토머스 하디는 184062일 영국 남서부 도싯 주 도체스터의 작은 시골 마을에서 태어났다. 당시는 철도의 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산업 발전기였지만, 그가 태어난 마을은 당시 영국에서 가장 낙후된 지역 중 한 곳이었다. 아버지는 석공이었으며, 어머니는 하녀로 일했다. 하지만 책을 좋아하는 어머니와 뛰어난 바이올린 연주자였던 아버지 덕분에 문학적, 예술적 환경에서 자라났다. 무엇보다 아버지는 하디에게 공부나 성공을 강요하지 않고 황야를 쏘다니면서 자연스럽게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었다. 어린 시절 시골 마을의 자연 환경을 몸소 느끼며 자란 경험은 하디의 작품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그의 작품들은 대부분 영국 남부 웨섹스 지역의 가공의 작은 마을이 배경인데, 이곳들은 그의 고향 도체스터를 모델로 하고 있다.

     하디는 도체스터에 있는 마을 학교에서 공부했다. 조용하고 학구적인 성격에 문학을 좋아하던 하디는 성적이 매우 뛰어났으며, 졸업 무렵에는 라틴 문학, 프랑스 문학, 영문학을 완전히 섭렵하고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대학 진학이 무리였던 환경 탓에 16세에 졸업한 후 바로 도체스터 지역의 한 건축기사의 도제로 들어갔다. 6년 후에는 런던의 건축사무소에 들어가 보조 건축사로 일했다. 그러나 그는 시인이 되고 싶다는 꿈을 품고, 퇴근 후에 라틴어와 프랑스어, 그리스어를 독학하고, 영문학 고전들을 탐독하며 문학 수업을 했다. "내 마음의 명령에 따라 나는 시를 써야만 한다."라고 말할 정도로 시에 대한 열망이 강했던 그는 꾸준히 시를 써서 다수의 잡 최후의 수단이 출간되자, 하디는 건축사무소를 그만두고 전업 작가의 길을 걷기로 결심했다. 이후 녹음 아래에서, 푸른 눈동자, 광란의 무리를 떠나서등으로 호평을 받으면서 작가로서 입지를 굳힌다.

    말년에 이르러 하디의 작가로서의 명성은 절정에 달했다. 1909년에는 작가협회 회장이 되었고, 1910년에는 영국 왕실로부터 메리트 훈장을 받았으며, 1912년에는 문학 왕실협회로부터 메달을 받았다. 1914년에는 비서이자 시인이었던 35세의 플로렌스 더그데일과 재혼하여 고요하고 명예로운 말년을 보냈다. 그의 집은 문학도들의 순례지가 되었으며, 1928111일 사망하여 웨스트민스터 사원 시인의 구역에 묻혔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