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 google7f94a714bae2f226.html 독서 공부법에 대한 한 생각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독서 공부법에 대한 한 생각

교육

by 북스톰 2023. 12. 31. 10:37

본문

반응형

 1-1.주체적 독서

1)나는 지금 왜 글을 읽고 있는가? 하는 주체성 깨닫기

     주체적인 독서가 동기를 유발시켜준다. 기왕 할 거 재미있게 하자. 음식을 맛있게 먹듯 재밌게 읽자. 정신 집중이 잘되는 독서부터 차례로 읽자. 만화나 소설 혹은 콩트는 재미있다. 왜냐하면 쉽게 흥미를 유발하도록 꾸며진 원리 가령 수준의 낙차와 웃음이 유발되어 재미를 준다. 예를 들어 지위가 높은 사람이 코딱지를 파던 손가락으로 잠시 후에 이를 쑤신다면 우리는 웃고 말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우스꽝스러운 책에 우리는 쉽사리 길들여져 왔다. 그리고 우리가 그 만화에 집중하고 웃는 까닭은 전후맥락과 원리에 젖어있기 때문이다. 논술문과 철학서적도 그 논리와 원리에 탐닉한다면 얼마든지 흥미를 줄 수 있고 심지어 수학이나 과학책도 재미와 웃음을 줄 수 있다. 원리와 논리가 길들여질 때까지 읽고 또 읽는다.

 

2)독서의 요령은

    대학미팅 가면 으레 취미가 뭡니까? 독서에요. 뭘 얼마나 읽었고, 독후감은? 독서카드는? 하고 묻는다면 자신 있는 대답을 할 대학생은 많지 않다. 우리나라 독서교육의 문제점은 이처럼 체계적인 연습과 공부가 없다는 점이다.

    읽은 책은 반드시 독서카드를 작성한다. 컴퓨터나 노트를 이용하여 제목, 작가, 읽은 내용의 줄거리와 주제와 소재 그리고 자신의 감상 등을 요약하여 적는다. 그러면 단축키처럼 기억을 항상 보관하는 셈이 된다. 몇 년 후에라도 다시 독서카드만 보면 책 원본 전체를 쉽게 기억해낼 수 있기 때문이다. 국어는 글을 읽고 주제와 전체 흐름을 파악하는 독해력을 길러야 한다. 수업 시간에 어려운 어휘나 문장을 암기하는 것도 중요하나 전체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보다 중요하다. 장르별 이해도 필수적이다. 교과서는 필수이고 기본적인 단편소설, 논설문, 수필, 철학, 역사서 등을 많이 읽어서 기본 실력을 배양한다. 독서의 요령은 얼마나 책을 잘 이해하는가에 달려있다. 여러번 읽어 암기할 책과 쉽게 읽을 책을 구분한다. 독서는 학생 스스로가 주체적인 의식을 갖고 글의 내용과 대결한다는 성실한 자세로 임한다. 책을 읽을 때에는 내가 지금 무슨 내용의 글을 왜 읽는가 하는 식의 주체적 입장을 가져야한다

 

3) 글쓴이의 입장에 한번 서보라

     모든 글은 글쓴이가 필요에 의해 작성한 것이다. 엄청난 감동으로 쓴 시와 누군가의 일대기를 꾸준히 서술한 끈기의 소설 그리고 솔직 담백한 수필에 이르기까지 문학적 감수성과 개인과 사회와의 관계 등이 모두 글 속에 녹아 있는 것이다. 감동은 동감에서 나온다. 또한 감동은 독자로 하여금 책에 몰입할 수 있게 해준다. 그것은 바로 독서 집중력을 높이는 계기가 되는 것이다. 나는 작가로서 글을 쓸 때 주인공이나 주변인물의 입장에서 대화와 행동을 한번 해본다. 그래야만 설득력 있고 객관성 있는 글이 나오기 때문이다. 독서도 마찬가지이다. 작가의 입장에 서면 왜 작가가 그 말을 했는지 또 그러한 생각을 갖게 되었는지를 이해하게 되고 그 작가의 주체적 입장을 경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독서는 보다 완벽한 책읽기와 국어공부의 바탕이 될 수 있는 것이다.

 

1-2.  SQ3R 독서 방법

SQ3R 은 미국의 교육 심리학자 로빈슨이 제창한 독서 지도 방법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SQ3R 은 훑어보기(Survey), 질문하기(Question), 자세히 읽기(Read), 되새기기(Recite), 다시 보기(Review) 5단계로 나누고 있다.

1). 훑어보기(survey) 단계 - 책을 읽기 전, 글의 제목, 소제목, 차례, 삽화, 도표 등을 보고 그 내용을 짐작하며, 글의 처음과 끝을 읽고 두 부분 사이의 내용을 짐작한다. 사전지식을 마련한다. 훝어보기에서 너무 많은 정보를 수집하면, 나중에 읽으려는 책의 흥미가 없어진다

2) 질문하기(question) 단계 -질문하기 단계에서는, 훝어본 내용을 근거로 하여 마음속으로 자신에게 질문한다, 가령 필자는 왜 이런 내용을 썼을까? 하는 식이다. 공부를 위한 독서에서는 큰 비중을 차지한다

3) 자세히 읽기(read) 단계 - 글을 차분히 읽으며 그 내용을 하나하나 확인하고 파악하며 내용에 대한 충분한 사색을 한다. 중심내용이나 자신이 제기한 질문에 관련된 내용이 나온다면, 더 자세히 읽어두거나, 메모해둔다 모르는 단어는, 사전을 찾고, 각 문단의 핵심단어, 구절을 적어두면 나중에 읽은 후 책의 내용구조를 알게되어 기억이 더 빠르게 된다.

4.) 되새기기(recite) 단계 - 글의 내용들을 되새기는 단계이다. 자세히 읽기 단계에서 적어둔 핵심단어, 구절,중심내용을 바탕으로 내용을 요약하고 정리한 다음 다시한번 그것을 읽어본다. 차분히 마음을 가라앉히고, 읽은 글의 내용을 떠올리며 30분 정도 조용한 환경에서 마음속으로 사색도 해보고 비판도 하며 정리해본다. 필자의 의도, 목적도 다시 살핀다.

5) 다시 보기(review) 단계 - 다시 보기 단계에서는, 독후감도 쓰고, 자신의 질문에 대한 답을 정리해 보면서, 글의 내용을 자신의 생각과 함께 곁들여 논문도 써보고, 읽은 내용을 바탕으로 스스로 글 한편도 지어본다. 1-4 단계를 다시 한번 경험하여 최종 마무리를 하는 것이다.

1-4. SQ3R 독서 방법으로 흥부전 읽기

1. 훑어보기(survey) 단계 - 조선조 임진,병자 양난 이후 판소리 계열의 민중문학이고 권선징악으로 바탕으로 형제우애를 다루었다.

2. 질문하기(question) 단계 -왜 놀부는 흥부를 괴롭혔을까? 왜 놀부는 나쁜 놈일까? 왜 흥부는 무능할까? 왜 흥부는 착할까? 작가의 의도는 뭘까?

3. 자세히 읽기(read) 단계 -제비와 박의 내용 흥부의 고난과 직업, 형제우애의 의미, 흥부 노동의 의미, 권선징악의 내용.

4. 되새기기(recite) 단계- 주제와 민중의 의도. 웃음과 놀이공간

5, 다시 보기(review) 단계 전체 총 정리와 이야기 다시 읽기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