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 google7f94a714bae2f226.html 아동문학 작가가 되기 위해 기본서를 읽자.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아동문학 작가가 되기 위해 기본서를 읽자.

소설공부

by 북스톰 2024. 1. 31. 00:02

본문

반응형

 

아동문학 작가가 되기 위해 기본서를 읽자.

 

세계아동문학의 대표적인 텍스트들

    우리나라에서는 이렇다 할 아동 전문 작품들이 상대적으로 미약하다. 그리고 세계의 문학사에서 아동문학의 지위가 처음으로 확립된 것은 19세기 후반 이후의 일이었다. 그 이전에는 우화와 설화문학인 신화, 전설, 민담 등이 어린이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었다. 이솝 이야기, 로빈 후드, 니벨룽겐의 노래, 그리스 로마신화그리고 아라비안 나이트등이며, 그 가운데에서도 프랑스의 샤를르 페로가 집필하 1698년에 동화집 거위아줌마 이야기를 어린이를 대상으로 출판하자 여기에 실린 붉은 두건(頭巾)혹은 발간 망토로도 알려졌다. 또한 신데렐라를 비롯한 8편의 작품이 큰 호평을 받았다. 18세기에는 로빈슨 크루소걸리버 여행기가 세상에 나와 아동문학사에 큰 영향을 끼쳤다. 이상의 고대로부터 이어져온 아동문학 작품들은 우성 기본적으로 읽고 작품 창작에 참고할 필요가 있다.

 

근대 아동문학의 세계

     18세기 말부터 유럽에서 일어난 낭만주의 운동은 동화의 부활을 촉진시키고 독일의 그림 형제와 러시아의 아파나시예프가 등장하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민화 속에 새로운 시대정신을 불어넣은 안데르센 동화는 획기적인 동화로 손꼽힌다. 그는 사회의 부정에 대한 분노, 어리석은 것에 대한 풍자, 가난한 것에 대한 동정을 작품의 기조로 삼았다. 소위 안데르센 동화의 출현으로 이후 유럽에서 환상적이고 공상적인 이야기가 성행하였다. 영국에서 특히 발전하여 1865년에 루이스 캐럴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가 출간되었다. 이 작품은 근대동화의 효시라고 할 수 있으며 영국의 국민성을 상징하고 있다. 그 뒤 모험소설인 보물섬(스티븐슨), 동물이야기인 플랜더스의 개(위다) 등이 나타났다. 결국 최근에는 <호빗>. <반지의 제왕> 그리고 <해리 포터> 같은 작품들이 그로부터 나왔다고 할 수 있다. 미국에서는 버넷의 소공자소공녀, 마크 트웨인의 톰 소여의 모험》,  <허클베린핀의 모험> 등이 19세기 말에 발표되어 청소년 소설의 지위를 확립하였다.

     프랑스에서는 심리적인 소녀소설을 쓴 세귀르 부인, 공상과학소설을 쓴 쥘 베른의 집 없는 아이를 쓴 말로 등이 활약하였고, 독일에서는 교훈주의적인 작품이 많았는데 그 속에서 슈피리의 하이디, 비스의 스위스의 로빈슨등 세계적 명작들이 탄생되었다. 이탈리아에서는 콜로디의 피노키오, 러시아에서는 톨스토이의 바보 이반이 널리 알려져 있다. 20세기에 들어와 세계의 아동문학은 질과 양적인 면에서 모두 큰 발전을 이룩하였다. 영국에서는 사실적인 필치의 동화적인 심정이 잘 나타난 공상소설이 일찍이 볼 수 없을 만큼 발전하였으며, 배리의 피터 팬, 드 라 메어의 원숭이왕자의 모험, 키플링의 정글 북, 그레이엄의 두꺼비의 모험등이 유명하다.

    미국에서는 전통적인 리얼한 소년소설이 나타났는데 버넷의 비밀의 화원, 잭 런던의 황야의 부르짖음, 와일더의 긴 겨울등이 그것이다. 프랑스에서는 제2차 세계대전 전에는 모루아의 뚱뚱이 나라와 키다리 나라, 빌드락의 장밋빛 섬등이 유명하였고 대전 후에는 베르나의 머리 없는 말, 생 텍쥐페리의 어린 왕자가 대표적인 작품으로 꼽힌다. 독일에서는 제1차 세계대전을 전후하여 본젤스의 꿀벌 마야의 모험을 비롯하여 잘텐의 밤비 Bambi, 케스트너의 에밀과 탐정들등이 나왔다. 또 제2차 세계대전 후에는 바우만의 초원의 아이들, 뤼트겐의 늑대에게 겨울은 없다, 브루크너의 멕시코의 폭동, 프로이슬러의 작은 마녀, 이스벨트의 노아의 방주등이 유명하다. 이상의 작품들을 차근차근 읽으면 근대 아동문학이 어떻게 발전되어 왔고 향후 어떻게 변할 것인가에 대한 방향성이 보일 수도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우리나라의 경우는 20세기 초부터 본격적인 아동문학이 발표되고 연구되었다-우리 대한으로 하여금 소년의 나라로 하라. - 이것은 한국 최초의 종합 월간잡지인 소년(1908. 1114. 8)의 머리말 가운데 한 대목이다. 한국 최초의 자유시 ()에게서 소년에게도 이 잡지에 실렸고 거기에는 소년문단이 마련되어 있었다. 191211월에 창간된 붉은 저고리는 아동문학의 선구로 자처하고 있었으니, 소년문학 혹은 아동문학이라는 낱말이 이 때부터 쓰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사전에 적힌 풀이대로 나이 어린 사내아이소년이라면 소년문학의 대상이 남자아이에 국한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을 뿐더러, 그 당시의 소년이란 비록 10대의 어린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긴 했으나 이미 결혼한 어른아이를 가리키는 말에 지나지 않았다. 그래서 남녀 어린이를 통틀어 일컫는 아동이 두 자를 문학위에 얹어 아동문학이라 일컬어 온 것이다물론 최근에는 많은 창작 동화들이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소설들이 상당수 출간되었고 그런 작품들은 영화나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고 있어서 향후 전망은 밝다고 할 수 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