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 google7f94a714bae2f226.html
자장(慈藏, 590년~658년)은 신라의 스님이었고, 율사(律師)로 알려져 있다. 여기서 율라사란 불교계율에 정통한 스님이란 뜻이다. 그가 출가하기 전에는 진골 출신의 귀족이었으며, 성은 김(金), 속명은 선종(善宗)이다. 그는 진골 출신 관리 호림공(虎林公) 김무림의 아들로 태어났다. 부모를 일찍 여의자, 처자를 버리고 원녕사(元寧寺)를 지어 고골관(枯骨觀), 즉 인생의 무상함을 마른 뼈와 같이 여기는 관념을 공부했다고 전해진다. 후에 선덕여왕이 짐선종을 재상에 임명하였으나 관계에 나가지 않았다.
636년(선덕여왕 5년) 왕명으로 제자 승실 등 10여명과 함께 중국 당나라의 오대산에 가서 문수보살을 친견하고 가사와 사리를 받고, 불도를 닦았다. 훗날 화엄종의 시조가 되는 두순(杜順)과 계율종(戒律宗)의 도선(道宣)에게 배운 뒤 643년(선덕여왕 12년) 장경 1부와 불구를 가지고 돌아왔다. 분황사 주지로 있으면서 궁중과 황룡사에서 《대승론》 · 《보살계본》 등을 강론하였다. 그 후 대국통이 되어 승려의 규범과 승통의 일체를 주관하였다. 또한 황룡사 9층 목탑의 창건을 건의하여 645년에 완성하였으며, 통도사와 금강계단을 세웠다. 전국 각처에 10여 개의 사탑을 세웠고, 중국의 제도를 본받아 신라에서는 처음으로 관복을 입게 하였다. 이어 650년 진덕여왕 때 당의 연호 사용을 건의하여 실시하게 하였다. 만년에는 강릉부에 수다사(水多寺)를 짓고, 후에 태백산에 정암사을 세워 그곳에서 입적하였다.
통도사의 산내암자인 자장암에는 법당 뒤 절벽 바위에 1천400년 전부터 금개구리가 살고 있다고 전해온다. 요즘도 자장암에서 정성들여 기도를 잘하면 볼 수 있다는 이 금개구리는 자장율사가 통도사를 세우기 전, 석벽 아래 움집을 짓고 수도하고 있을 때 나타났다고 한다. 어느 날 저녁 자장율사는 공양미를 씻으러 암벽 아래 석간수가 흘러나오는 옹달샘으로 나갔다. 바가지로 막 샘물을 뜨려던 스님은 잠시 손을 멈췄다. 스님은 샘에서 흙탕물을 일으키며 놀고 있는 개구리 한 쌍을 두 손으로 건져 근처 숲속으로 옮겨 놓았다. 다음날 아침. 샘가로 나간 자장스님은 개구리 두 마리가 다시 와서 놀고 있는 것을 보았다. 아무리 옮겨놓아도 다시 오는 개구리를 보고 자장율사는 개구리를 샘에서 살도록 그냥 놔두었다. 그러다가 겨울이 되자 스님은 절 뒤 깎아 세운 듯한 암벽을 손가락으로 찔러 큰 손가락이 들어갈 만한 구멍을 뚫고 그 안에 개구리를 넣어 주었다. 보통 사람이 단단한 바위를 손가락을 찔러서 구멍을 낸다는 것은 판타지해 해당되는 것이다. 그 뒤 통도사 스님들은 이 개구리를 금와보살, 바위를 금와석굴이라 불렀다.
옛날 어떤 관리가 금개구리 이야기를 듣고 자장암을 찾았다. 스님이 금개구리에 얽힌 이야기를 들려주자 관리는 믿으려 하지 않았다. 그는 다짜고짜 바위에서 개구리를 잡아 너무 함 속에 넣어 밀폐한 뒤 산문을 나와 함을 열어보았다. 그러나 분명히 잡아넣은 개구리는 보이지 않고 함은 비어 있었다. 그 후 전하는 말에 의하면 그 금개구리들은 자장율사의 신통력으로 살아가고 있어서 속인들에게는 사라지고 없는 모양이었다. 속칭 이 금개구리 보살은 통도사 내에 길조가 생길 때면 나타난다고 한다.
정암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인 월정사의 말사이다. 신라의 자장율사가 창건한 사찰로 우리나라 5대 적멸보궁의 하나로서 칡의 갈래가 알려준 곳이라 하여 갈래사라고도 한다. 사적기에 의하면 자장율사는 말년에 강릉 수다사에 머물렀는데, 하루는 꿈에 웬 스님이 나타나 내일 대송정에서 보자고 하였다. 아침에 대송정에 가니 문수보살이 나타나 태백산 갈반지(葛盤地)에서 만나자라고 말하곤 사라졌다. 자장율사는 태백산으로 들어가 갈반지를 찾다가, 어느 날 큰 구렁이가 또아리를 틀고 있는 것을 보고 제자에게 이곳이 갈반지라 이르고 석남원을 지었는데 이 절이 정암사이다. 그리고 최근 자장율사의 순례길이 유명하다. 길은 정선군과 태백시를 잇는 고갯길 두문동재 입구에서 함백산 만항재의 갈림길 일대이다. 과거에는 상갈래, 싸리덕, 절골 등으로 불렸다. 칡 갈(葛)과 올 래(來)의 갈래는 자장율사에서 비롯된 지명이고 절골도 골(골짜기)에 사찰(정암사)이 있다고 해서 생긴 이름이라고 한다. 정암사 일대는 자장율사와 관련된 지명이 많다. 만항재 동쪽의 뾰족산은 자장율사가 공부하던 바위가 있다고 한다. 반대편인 만항재 서쪽의 영월군 상동읍 구래리(九來里)는 자장율사가 태백산 갈반지를 찾으려고 칡넝쿨을 따라 이곳에 아홉 번이나 와서 구래리로 부르게 됐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도선국사의 풍수와 예언 (9) | 2024.04.05 |
---|---|
신라사선의 이야기 (8) | 2024.04.04 |
진표율사의 기이담 (7) | 2024.04.02 |
원광법사의 신기한 이야기 (16) | 2024.04.01 |
원효형님과 의상아우 (16) | 2024.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