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 google7f94a714bae2f226.html
원광법사는(542년~640년)은 통일신라 이전시대의 승려이다. 이름은 분명치 않으나 원래 성은 박씨이다. 중국에서 불경을 연구하고 강의하면서 이름이 높았던 원광은 신라로 돌아 온 후 《여래장경사기(如來藏私記)》 · 《대방등여래장경소(大方等如來藏經疏)》 등을 지어 신라에 새로운 불교 지식을 전하였다. 한편, 교화활동에 힘써 국민도덕 및 사회윤리를 선양하는 일을 도모하였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세속오계(世俗五戒)의 제정이다. 진평왕 30년(608년)에는 왕명으로 《걸사표(乞師表)》를 지어 수나라에 출병을 요청했다. 이처럼 원광 법사는 통일 전에 신라에 막대한 기여를 했고 화랑들에게도 지재한 영향력을 준 신라의 고승이다. 한편으로 판타지적인 설화들이 등장하는데 이런 소재들은 소설의 재료로서도 소중한 것이라 할 만하다.
원광대사의 생애에 대해서는 13세기 초에 만들어진 《해동고승전》과 삼국유사에 간략히 나와 있다. 그는 독서광으로 스스로 제자백가(諸子百家) · 사서삼경(四書三經) · 《춘추(春秋)》·《사기(史記)》 등을 읽고 불경을 공부하여 진흥왕 27년(566년) 승려가 되었다. 진지왕 3년(578년) 진(陳)에 건너가 《열반경》, 《성실론(成實論)》을 배우고 여러 불경을 연구하고 강의하여 이름이 높았다. 또한 원광은 수나라에 가서 여러 경전을 배웠다. 589년에 수나라에 건너가 11년간 유학하면서 그는 소승 불교와 대승 불교 양쪽의 불경을 모두 공부하였다. 그는 수나라의 승려 담천(曇遷) · 혜원(慧遠) · 영유(靈裕) 등을 만나 《열반경(涅槃經)》·《성실론(成實論)》·《구사론(俱舍論)》·《섭대승론(攝大乘論)》을 배웠다.
진평왕 22년(600년)에 신라로 돌아와 대승 불교를 정착시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또한 《여래장경사기(如來藏私記)》 · 《대방등여래장경소(大方等如來藏經疏)》 등을 지어 신라에 새로운 불교 지식을 전했다. 그는 자신의 사상을 일반 대중에게 전파하기 위해 복잡한 용어를 사용하기보다 평범한 말들로 표현하였다. 귀산(貴山)등에게 화랑도 세속5계(世俗五戒)를 지어준 것으로 유명하다. 그 밖에 왕명을 받아 수나라에 보내는 《걸사표(乞師表)》를 지었고 황룡사 백고좌회에서 《인왕반야경(仁王般若經)》을 설법하였다. 원광은 대승불교의 진호국가사상(鎭護國家思想)을 화랑도 및 근왕사상(勤王思想)[5]과 연결시켜 국가 이념으로 정립하는데 큰 공헌을 했다.
원광이 30세에 삼기산(三岐山)에 들어가 수도할 때 이웃에 중 하나가 와서 살았는데, 밤에 신(神)이 원광에게 나타나 그 중더러 다른 곳으로 옮겨 가도록 권해 주기를 당부하였다. 그러나 중은 호귀(狐鬼) 따위의 말이라 하여 듣지 않았다. 그러자 신이 벼락을 내려 산을 허물어 중이 있던 절을 묻어 버렸다. 그후 원광은 신이 권유한 대로 중국에 가서 불교와 유교를 익히고 돌아왔다. 신에게 감사하러 삼기산에 간 원광은 신으로부터 계를 받고 생생상제(生生相濟)주6의 약속을 맺었다. 신은 원광의 청으로 자신의 모습을 드러냈는데, 큰 팔뚝이 날이 밝아 오는 아침 구름을 뚫고 하늘가에 닿아 있었다. 신은 마침내 무상(無常)의 몸을 버렸는데, 원광이 보니 늙은 여우였다. 이 내용은 수이전에 기록되어 있다
또한 다음은 삼국사기의 열전에 실린 내용이다. 신라 사량부(沙梁部)에 사는 귀산(貴山)과 추항(箒項)이 원광에게 와서, 평생의 경계가 될 말을 들려주기를 청하였다. 원광은 두 사람에게 세속오계(世俗五戒)를 가르쳐 주었다. 즉, 임금을 충성으로 섬김[事君以忠], 어버이를 효성으로 섬김[事親以孝], 벗을 신의로 사귐[交友以信], 싸움에서 물러서지 않음[臨戰無退], 산 것을 가려서 죽임[殺生有擇] 등의 내용이었다. 원광은 "산 것을 가려서 죽인다."라는 뜻을 깨치지 못하는 귀산과 추항에게 산 것을 죽일 때 육재일(六齋日)주8과 봄 · 여름을 피하는 것은 시기를 가리는 것이라 알려주고, 말 · 소 · 닭 · 개와 같은 가축과 작은 물건을 죽이지 않는 것은 물건을 가리는 것이며, 이것도 쓸 만큼만 죽인다고 알려주었다. 두 사람은 원광의 가르침을 받들어 실천하기로 다짐하고, 그 뒤 전쟁에 나가 모두 나라에 큰 공을 세웠다.
불교설화에는 신이적(神異的) 내용을 통해 독자나 청자에게 깊은 종교적 감동을 주는 것이 있다. 불교설화는 여러 가지 신력(神力)으로 중생이 미증유(未曾有)의 일을 겪게 하는 내용이 담겨 있는데, 이는 중생을 교화(敎化)하는 하나의 방편이다.
원광에 관한 설화에서 불교적인 영험하고 신이한 이야기들은 종교 설화의 대표적인 유형이다. 본 원광의 이웃에 있던 승려의 죽음이나 원광을 이끌어 주었던 신의 죽음이 모두 등장한다는 점에서 토착 신앙과 불교 간 대결을 보여 주며, 신의 최후가 죽어 가는 검은 여우이고, 원광법사는 당나라 유학을 마치고 고승이 된다는 점에서 마침내 불교에 복속되는 토착 신앙의 모습을 반영한 것으로도 해석된다. 또한 자신의 세속오계(世俗五戒)를 이야기화한 것으로, 이는 당초 보살십계(菩薩十戒)에 근거를 두고 세속에 맞도록 절충한 것이다. 이는 불교의 살생계(殺生戒)주12가 신라의 현실에 알맞게 "산 것을 가려서 죽임[殺生有擇]."으로 변용된 모습을 보여주며, 신라의 불교가 호국불교(護國佛敎)로 이념화되었음을 보여준다.
자장율사의 이야기 (8) | 2024.04.03 |
---|---|
진표율사의 기이담 (7) | 2024.04.02 |
원효형님과 의상아우 (16) | 2024.03.30 |
원효대사에 대한 여러담론들 (14) | 2024.03.29 |
원효대사와 요석공주의 로맨스 (5) | 2024.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