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 google7f94a714bae2f226.html
<아버지의 해방일지>는 2022년 9월에 출간된 정지아의 장편소설이다. 소설은 구례에서 태어나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겪으며 빨치산으로 활동한 아버지가 죽은 후, 그의 장례식을 지키는 딸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딸은 아버지에 대해 그동안 알지 못했던 비밀을 알게 되고, 그를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을 통해 성장한다. 딸이 돌아가신 아버지에 대한 이해를 하게되는 모티브로서 장례를 치르는 과정은 윤후명의 소설 <산역>을 떠올리게 하는 작품이다.
소설은 빨치산 아버지와 그를 이해하려는 딸의 이야기를 통해 한국 현대사의 격동기와 그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을 그려낸다. 또한, 개인과 역사의 관계를 탐구하고, 진정한 자유와 해방의 의미를 묻는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이야기는 크게 네 줄기로 이뤄진다. 첫째, 아버지와 평생을 반목해온, 작은아버지와의 이야기다. 빨갱이형 때문에 집안이 망했다고 생각하는 작은아버지는, 형의 죽음을 알리는 전화를 대꾸도 없이 끊을 만큼 냉담하다. 주인공인 나는 차라리 작은아버지가 장례식장에 나타나지 않기를 바란다. 내용은 죽은 아버지와 작은아버지는 화해에 초점이 있다. 둘째는 구례에서 아버지가 사귀어온 친구들의 이야기다. 아버지의 소학교 동창들의 이야기가 더러 코믹하게 소개된다.
셋째, 나와 아버지의 이야기다. 이 작품의 주요 내용으로 빨치산의 딸로서 힘들게 살아온 딸이 아버지를 이해하는 과정이다. 사회주의자이고 혁명전사였기에 생활력은 없었고, 그런 주제에 보증을 서서 늘 가난했던 집안 형편은 전부 아버지 탓이었다. 그런데 내가 잊고 있었던, 나를 사랑했던 순간순간들이 떠오른다. 나는 아버지의 유골을 손에 들고, 아버지를 가장 아버지다운 방식으로 보낼 결심을 한다. 넷째, 어머니와 아버지 사이의 일화들이다. 평생의 동지이자 그 역시 사회주의자였던 어머니는 아버지보다는 현실적이다. 그래서 아버지는 이런저런 일로 늘 구박을 받는다. 사회주의자 거플은 소설에서 매우 긍정적으로 그려진다.
당금 대한민국은 분단국가로서 공산주의국가인 북한과 대치 중이다. 북한에서는 자유민주주의 혹은 자본주에 대해서는 입도 뻥긋하지 못하지만 남측에서는 북측의 거의 모든일에 대해서 런론의 자유, 표현의 자유라는 이름으로 아무렇게나 말을 해도 된다. 물론 북에 대한 노골적인 찬양같이 지나치게 국가보안법을 어기지만 않는다면 말이다.
이 소설에서 개인과 역사의 관계, 진정한 자유와 해방의 의미 그리고 가족애와 연대의 중요성 등의 문제를 읽어내려가다 보면 자유민주주의 체제에서의 자유가 얼마나 대단한지 알 수 있다. 공산주의 사회주의의 내용도 가족애와 철학적인 측면에서 마음 놓고 다루고있기 때문이다.
이 소설은 개인과 역사의 관계를 탐구하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빨치산 아버지는 한국 현대사의 격동기를 살아온 한 개인이다. 그는 일제강점기의 억압과 한국전쟁의 참상을 경험하며, 평등한 세상을 꿈꾸게 된다. 그가 일제 강점기하에서 앞이 보이지 않는 컴컴한 현실에서 일제에 저항하기 위한 거의 유일한 수단인 사회주의, 공산주의 가입과 독립운동 그리고 반일운동은 당시로서는 당연한 그리고 절실한 선택이었다. 하지만 해방 후에 남 과 북이 갈라지면서 그의 저항운동은 현실의 벽에 부딪히며 좌절하고, 결국 패배한다. 그리고 가족애라는 차원에서 오늘날의 가치와 과거의 이데올로기를 뛰어넘는 역사적 입장에서 아버지를 바라본다. 딸은 아버지를 통해 한 개인이 역사의 흐름 속에서 어떻게 살아가는지를 서술한다. 아버지는 역사 속에서 고난을 겪는 개인의 모습으로 마치 멈춰진 시간 속에서 진정한 자유와 해방의 의미를 묻는다. 이때 독자들은 아빠의 당연한 절대시간 속에서의 빨치산 요원으로서의 평등한 세상을 꿈꾸며 싸웠다. 시간이 멈춰진 세상에서만 가능하고 오늘날 공산주의와 맞서고 있는 세상에서는 자유와 해방의 가치가 이미 달라진 것을 소설 주인공은 간과하고 있다. 주인공 나는 그녀의 아버지를 마지막 순간까지 자신의 신념을 지키며, 진정한 자유와 해방의 의미를 보여주었다고 하지만 개인의 자유와 해방은 가족과 공동체의 연대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지금의 공동체는 이미 빨치산 시대를 넘어서고도 한참이 지난 세계인 것이다.
이 작품은 가족애와 연대의 중요성을 주관적으로 강조하는 작품이고 새로운 자유와 해방을 체험한 21세기의 독자들에게는 텍스트의 메시지가 신선하면서도 동시에 구태한 느낌을 준다. 이 독서 체험은 언젠가는 다가올 통일이야말로 무척이나 많은 좌우 대립을 상처받은 이들에게 진정한 힐링이 될 거라는 생각을 하게 한다.
<산역> - 윤후명 : 시와 소설의 장르 초월적 만남 (2) | 2023.09.02 |
---|---|
<아버지에게 갔었어> 신경숙 : 이 땅의 아버지들의 운명 (4) | 2023.09.01 |
< 안나 카레니나> 톨스토이 : 사랑 혹은 불륜 (2) | 2023.08.30 |
<역마> - 김동리 : 운명을 받아들여야 하는 인생 (0) | 2023.08.28 |
<마농 레스코> - 아베 프레보 : 마농의 절대적인 사랑의 비극성 (2) | 2023.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