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 google7f94a714bae2f226.html < 안나 카레니나> 톨스토이 : 사랑 혹은 불륜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 안나 카레니나> 톨스토이 : 사랑 혹은 불륜

소설책

by 북스톰 2023. 8. 30. 00:39

본문

반응형

< 안나 카레니나> 톨스토이 : 사랑 혹은 불륜

 

세계적 명작으로서의 < 안나 카레니나>

    < 안나 카레니나> 톨스토이가 자신의 진정한 첫 소설로 평가한 작품으로, 도스토예프스키로부터 완벽한 예술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프랑스의 문호 구스타프 플로베르의 마담 보봐리의 여주인공 엠마보봐리가 있다면 톨스토이에게 안나가 있는 것이다. 이 작품은 후에 러시아 출신 미국작가 블라디미르 나보코프로부터 톨스토이 스타일의 정점이라는 극찬을 받은 바 있다. 레오 톨스토이의 <안나 카레니나>19세기 러시아 사회를 배경으로, 안나 카레니나의 불륜과 그로 인한 파국을 비극적으로 그린 작품으로 세계문학사에 있어서 러시아 문학의 걸작으로 평가되고 있다.

 

스토리라인 요약 : 안나의 진실한 사랑 혹은 욕정

    스테판 공작이 가정교사와 바람을 피운 사건 때문에 불화가 생기자, 그의 여동생 안나 카레니나가 이들을 화해시키기 위해 페테르부르크에서 모스크바로 온다. 페테르부르크에서 고위 관리의 아내로, 한 아이의 어머니로 살던 아름다운 여인 안나는 모스크바에서 브론스키 백작을 만나 한눈에 반한다. 브론스키는 스테판의 처제 키티에게 구애하던 중 안나에게 빠져든다. 키티는 브론스키가 청혼할 것으로 굳게 믿고 점잖은 귀족 레빈의 청혼을 거절해 버렸지만 안나와 브론스키가 주위를 의식하지 않고 함께 있는 모습을 보고 절망한다.

    안나는 브론스키와의 밀회를 계속하는데, 남편은 물론이고 사교계의 모든 사람이 둘의 사이를 알게 된다. 안나는 남편에게 사실을 고백하고 이혼을 요구한다. 하지만 남편은 이혼을 거절하면서 결혼 관계를 유지하려고 한다. 그럴수록 안나는 그에 대한 증오심이 더욱 커져 가고 결국 안나는 브론스키의 딸을 낳는다. 안나와 브론스키는 사회에서 싸늘하게 외면당한 채 외국으로 떠난다. 외국을 전전하며 살아가는 동안 남편과의 이혼이 요원함을 느끼는 동시에 첫 아이인 아들에 대한 그리움이 커져가자, 안나는 점점 더 브론스키에게 집착하게 된다. 다시 러시아에 돌아와도 사교계를 비롯한 그 어느 곳에서도 브론스키와의 관계를 인정받지 못한다는 것을 깨달으면서, 안나는 브론스키에게 지독하게 사랑을 갈구한다. 그럴수록 브론스키는 그녀에 대한 마음이 식어 가는 것을 느낀다. 결국 남편과 아들을 버린 안나는 비극적인 생을 마감한다.

 

작품과 작가,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1828년 러시아 야스나야 폴랴나에서 톨스토이 백작 집안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1844년 카잔 대학교에 입학하나 대학 교육에 실망해 1847년 고향으로 돌아갔다. 진보적인 지주로서 새로운 농업 경영과 농노 계몽을 위해 일하려 했으나 실패로 끝나고 이후 3년간 방탕한 생활을 했다. 1851년 맏형이 있는 카프카스로 가서 군대에서 근무했다. 이듬해 잡지 소브레멘니크에 익명으로 연재를 시작하면서 작가로서 첫발을 내디뎠다. 작품 집필과 함께 농업 경영에 힘을 쏟는 한편, 농민의 열악한 교육 상태에 관심을 갖게 되어 학교를 세우고 1861년 교육 잡지 야스나야 폴랴나를 간행했다. 1862년 결혼한 후 문학에 전념하여 전쟁과 평화, 안나 카레니나등 대작을 집필, 작가로서의 명성을 누렸다. 그는 실질적으로 러시아를 대표하는 소설가이다.

   작가는 이 작품에서 안나와 레빈이라는 주요 인물에게 일어나는 사건과 그들의 생각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전개한다. 그는 구체적이고 경험적인 시공간과 인물을 창조하여, 그 속에서 살아가는 여러 인물들을 통해 인류에게 주어진 철학적, 사상적 문제에 대한 실질적인 해답을 얻으려 했다. 스스로 만들어 낸 사회 제도와 구조 속에서 고민하고 갈등하는 인간 군상들의 모습은 삶의 진실과 사랑의 본질, 나아가 인간 존재의 문제를 드러낸다.

 

안나 카레니나의 진정한 사랑과 불륜

    작품은 세계적인 명작으로 손꼽힌다. 로맨틱한 소설의 주인공답게 안나 카레니나의 불륜이 지나치게 미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안나는 자신의 결혼 생활에 불만을 품고, 자유와 사랑을 갈망하면서 브론스키와 사랑에 빠진다. 그러나 안나의 불륜은 자신의 행복을 위해 남편과 아들을 버리고 결국 파멸에 이른다. 이러한 안나의 행동은 작중에서 수많은 인물들로부터 암묵적으로 비판을 받고 독자들에게도 지적을 당한다.

    또한 안나의 불륜은 러시아 사교계에서 큰 스캔들을 일으키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안나를 비난하지 않는다. 오히려 안나는 사교계의 스타로 부상하고, 그녀의 불륜은 하나의 유행처럼 번져나간다. 이러한 묘사는 러시아 사교계의 부패와 위선을 보여주는 동시에 안나의 욕정을 과장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작가는 안나가 자신의 행복을 위해 불륜을 저지르지만, 결국 그녀는 자신의 행동에 대한 대가를 치르게 구성함으로써 권선징악적인 결말을 설정한 것과 여성이 행복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남성의 도움과 보호가 필요하다는 고정관념을 떨치지 못한 것도 당대의 한계점이 아닌가 한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