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 google7f94a714bae2f226.html 소설은 어떻게 생겨났을까?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소설은 어떻게 생겨났을까?

소설공부

by 북스톰 2023. 10. 4. 00:28

본문

반응형

소설은 어떻게 생겨났을까?

     소설이란 누군가 혹은 무엇인가에 대한 이야기를 함으로써 생겨난다. 다시 말해 소설은 하나의 이야기이다. 이야기는 언어를 통하여 고정되며 그 고정의 과정에 여러 가지 요소들 가령, 문학적 장치, 작가의 세계관, 사회의 가치들, 동자의 관심 등이 포함된다.

     소설은 작가가 스스로 의도한 바에 따라 현실의 삶은 허구로 재구성하여 서술한 산문의 이야기이다. 이때 인물의 행동이나 성격, 혹은 관계된 사건묘사를 통해 소설세계에서 일어나는 관계들을 묘사한 것이다. 인간은 비록 혼자라 하더라도 그가 존재하고 또 종족번식의 수단으로 개체를 생산하고 무엇이나 누구와 최소한의 관계를 맺고 있는 이상 사회적 존재이다.

 

 

소설은 인간세계의 이야기를 먹고산다.

    소설은 그러한 인간의 이야기를 다룬다. 그러므로 소설은 사회적일 수밖에 없다. 소설이 인간의 내면 세계를 그리든지 사회현실을 반영하든지 결국 개인이 사회에 속한 이상 소설은 사회적인 것이다.

     사회는 끊임없이 변동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인간의 내면세계나 가치관 역시 하루가 다르게 변하고 있다. 소설은 밖으로는 사회현실 인간의 가치관 변화 내면의 갈등 등으로 압력을 받고 내적으로는 허구의 재구성과 창조적 방법론과 순수성 등에 압력을 받으며 변화하고 있다. 결국 소설은 완전히 굳은 문학장르가 아니다. 얼마든지 바뀌고 달라질 수 있다.

 

 

소설은 왜 생겨났을까?

     무릇 문학은 인간의 정신을 표현하는 한 형태이다. 그것은 언어 혹은 말(구전)로 존재하고 있다. 문학의 기원에 대한 물음이 바로 문학이 무엇이며 왜 생겨났는가의 요점이 될 것이다. 그것은 대개 아리스토텔레스의 모방충동설(模倣衝動說) (인간은 모방의 본능을 갖고 있으며 모방할 때 예술적 쾌감을 느낀다), 칸트의 유희본능설(遊戱本能說)은 무목적의 목적성, 예술자체가 쾌락이며 그 과정이 유희라고 보는 설이다. 또한 정신분석 학자들에 의하면 인간욕구(人間慾求)의 발로(發露)로써 성욕, 식욕 등과 같이 창작욕이 인간의 욕망의 표현이라는 설 등이 가장 유력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설들은 그야말로 가설에 불과하다. 또한 그 분분한 논의는 끝이 없이 학파를 만들어 유지되고 있다. 그러므로 원론적인 물음은 구체적이고 말단적인 문제부터 풀어 나가야 할 것이다.

 

소설문학론의 대강

    서양문학에서 제기된 문학론은 크게 4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모방론(模倣論)은 문학작품은 인간 외부의 어떤 것을 모방한 것이다. 이것은 문학을 대상적 측면에서 바라본 예라고 할 수 있다. 둘째로는 효용론(效用論)이 있는데 이것은 문학으로 인간을 교화한다는 입장이고 문학을 독자의 측면에서 본 것이다. 셋째는 표현론(表現論)이다. 위대한 혹은 특정한 저술가가 창작한 것으로 문학 텍스트를 파악한 이 이론은 작가의 측면에서 문학을 평가한다. 마지막으로는 존재론(存在論)으로써 작품은 구조를 가진 하나의 독립된 존재물이라고 보는 견해이다. 이른바 언어예술의 표상물인, 작품적 측면에서 문학을 평가한 것이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무엇이 문학인가 라는 질문은 허구의 초월적 미의식, 위대한 저술, 언어예술, 창작된 학문, 등의 세부적인 대답이 가능하다그러나 부분적인 접근보다는 총체적인 접근으로 문학에 대한 시각을 넓혀야 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그렇다면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말하여야 하는가? 대학에서 문학을 공부한다는 것은 결국 문학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는 결과로 도출되어야 한다. 먼저 무엇을 어떻게 말할 것인가에 대해 준비해야 한다. 우선 문학에 대한 시각을 갖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반응형

'소설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