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 google7f94a714bae2f226.html 홍길동전을 활용한 논술문제 만들기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홍길동전을 활용한 논술문제 만들기

교육

by 북스톰 2023. 11. 4. 00:15

본문

반응형

홍길동전을 활용한 논술문제 만들기

 

홍길동전과 수호전을 비교하여 홍길동 영웅적 성격이 수호전의 내용과 어떻게 다른지 논술하시오.

     『홍길동전은 허균이 지은 것으로 알려진 한국 최초의 한글소설이다. 의적 홍길동을 소재로 한 내용이다. 조선 소설사상 선구적 지위를 점령할 뿐만아니라 조선조의 모든 소설 가운데서도 가장 예민하고 치열하면서도 사실적인 주제 의식을 보여준 작품이다.

     『수호전은 중국 명대의 장편소설로, 시내암(施耐庵의 작품, 혹은 나관중시내암의 합작으로 알려져 있다. 북송 말인 선화(宣和)연간, 송강 이하 108명의 호걸들과 그 군도가 산동의 양산박을 근거지로 관()과 맞서는 이야기를 생동감있게 그려내어 중국 소설사에서 손꼽히는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홍길동전수호전의 영향을 받았다는 주장은 국문학계에서 일찍이 언급한 바가 있다. 그러나 영향관계에 상관없이 홍길동만의 문제의식과 내용을 수호전과 비교하여 쓰는 방식으로논술한다.

 

홍길동전과 수호전의 인물비교

     수호전 108(水滸傳百八星)수호전에 등장하는 108명의 호걸을 가리킨다. 36명의 천강성(天罡星)72명의 지살성(地煞星)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호전과 달리 홍길동전의 주인공은 하나이고 등장인물의 수도 그만큼 많지 않다. 주인공 홍길동을 비롯하여 아버지인 홍판서, 홍판서의 큰부인인 유부인, 홍길동의 어머님인 춘섬, 홍판서의 애첩인 초란 그리고 형님인 홍인형 등이 있다.

     홍길동은 서얼로 태어났다. 홍길동의 아버지인 홍판서가 대대 명문거족의 출신으로 소년등과하여 이조판서를 지낸 재상이다. 홍판서사 용이 몸에 감기는 꿈을 꾸고 나서 귀한 시비 낳겠다는 생각으로 부인에게 관계를 요구하는데 거절당하고 시비인 춘섬과 관계를 가져 아이를 잉태를 한다. 이렇게 태어난 서자인 길동은, 기골이 비범하고 영웅호걸의 기백이 있으며, 점점 자라 인재가 되자 총명이 과인하여 하나를 들면 을 통하는 능력과 재질을 소유한인물로 자라게 된다. 이렇듯 그의 태어남은 비정상이었다. 그리고 용은 제왕을 상징하므로 홍길동 태어나는 태몽이 왕이될 자질을 갖고 있는 것이 암시한다 실제로 소설에서는 율도국의 왕이 된다. 이와 반면에 수호전의 설자에 의하면 송강을 비롯한 108영웅들의 전신은 36원 천강성, 72좌 지살성의 마군과 흑기로 세상에 나타난다. 수호전의 인물들이 비극적을 생을 마가하는 반면 홍길동은 왕이 되고 자손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죽는다.

 

주인공이 꿈꾸는 세상에 대한 차이점

     먼저 홍길동전은 가장 두드러지는 부분이 계급 타파, 특히 적서 차별의 폐지를 강조한다. 홍길동이 호부호형을 하지 못하는 서자로서의 함이 작중이 노골적으로 드러난다. 또한 향토거벌(鄉土巨閥)과 토호와 타락한 귀족을 질타한다. 작중에서 활빈당은 지방 수령의 불의한 재물을 몰수하여 빈민을 구제한다. 그리고 홍길동은 중국 율도국에 들어가서 왕이 된다. 수호진의 어떤 영웅도 스스로 왕이되지 못한 점은 가장 확실한 차이점이다. 두 작품이 공히 모순된 사회 현실을 타파하려는 사회성 있는 소설이지만 결과적으로는 차이점이 분명하다 할 수 있다.

     한편 수호전에서는 등장인물들이 사회 환경에 대한 불만을 품은 상황에서 영웅들은 쫓기듯 양산으로 올라간다. 양산에서 영웅들이 모여서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 도움을 주고 나쁜 탐관오리들에게 교훈을 준다. 이 모든 행동이 다 공통적 목표를 위한 것으로서 이상적 생존 환경을 만들어야겠다는 그들의 욕망이 하나의 주제의식으로 승화된다. 주제 사상의 면에서 보면, 혼란한 사회를 배경으로 <수호전>은 창작되었으며 사회를 비판하고 백성을 위해 새로운 이상사회를 만들려는 의지도 느낄 수 있다. 영웅들이 힘을 합쳐 역경을 이겨내며 그들의 의로운 우정이 강조되었다. 홍길동이 홀로 왕이되는것과는 확연한 차이가 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